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9.6℃
  • 구름조금강릉 16.5℃
  • 맑음서울 19.3℃
  • 맑음대전 20.8℃
  • 맑음대구 23.1℃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19.5℃
  • 맑음부산 21.0℃
  • 맑음고창 16.0℃
  • 맑음제주 18.0℃
  • 맑음강화 17.8℃
  • 맑음보은 19.0℃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20.1℃
  • 맑음경주시 23.8℃
  • 맑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통신원리포트

밝아지는 제주의 해안선

제주의 해안선은 세계복합유산 후보지로도 충분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

 
김완병씨는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 학예연구원으로 근무합니다. 조류 등 동물분야에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제주의 해안선은 말이 없다.

제주의 해안선이 밝아지고 있다.

해안도로에 야간 조명시설이 늘어나면서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밤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해안도로변에 팬션이나 카페 그리고 향토 음식점이 들어서면서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일까 여기저기서 궁리들이다. 그러다 보니 접근성이 쉽도록 다각적인 시도와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어 가고 있다. 하지만 밤거리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야간 조명 시설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관광 명소를 찾는 사람들에게 이색 밤거리 제공, 안전성과 접근성 차원에서 기본적인 시설물에 대해서 괜한 트집을 잡자는 것이 아니다. 제주의 해안선을 찾아본 사람이면 한번쯤 고민되고 걱정이 앞설 것이라 여겨진다.

당장에 가시적인 성과보다는 먼 장래를 내다볼 필요가 있다.

꼬불꼬불한 해안선을 보다 매력 있고 생태적으로 살아남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다. 휘황찬란한 불빛의 가로등과 광고판 그리고 늘어만 가는 자동차와 숙박시설로 인하여, 심신을 달래려고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심리적 위험성을 높여줄 소지가 있다. 또한 야간 조명 때문에 편안한 밤을 보내지 못하는 푸른 가로수와 야생 조류들도 곤욕을 치루고 있다.

인위적으로 밝게 하지 않아도 달빛에 의해 더욱 빛나는 제주의 해안선을 찾도록 해보자.

한 밤에 바지를 걷어 올리고 바다에 들어서는 것보다 저녁 무렵 물때에 맞춰 보말이나 오분자기를 잡으면서 일몰을 지켜보는 모습을 연상해보라. 말 못하는 해안선에 향토 수종을 늘리고 제주의 초가, 원과 포구들을 복원하는 노력이 제주를 알리는데 보다 효과적이지 아닐까. 말을 해다오.

제주도가 천혜의 지질자원을 세계자연유산으로 신청한 이후에, 또 다른 세계유산으로 해녀와 제주어가 거론되고 있다.

그렇다면 제주의 해안선은 잘만 하면, 세계복합유산 후보지로도 충분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 제주의 해안선은 화산 폭발 당시의 원형이 그대로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해녀들의 물질과 제주 방언을 고스란히 체험할 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제주도의 독특한 자연 환경과 생활 문화가 원시성을 잃지 않고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곳을 야간 관광 활성화로 본래 모습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파괴되었다고 상상해보라. 한 마디로 끔직하고 안타까움이 앞선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