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통신원리포트

엄청나게 터져 버린 제주의 하천

 
엄청나게 터져버린 제주의 하천

지난 주말, 5월인데도 장마에 버금가는 큰 비가 내렸다. 보기 드문 강풍과 폭우로 인하여 한라산 진달래밭의 강수량이 564mm 정도였으니, 도내 여러 계곡과 하천은 물바다였다.

한라산 곳곳에서 내려온 빗물이 하류로 집중되면서 하천을 범람할 정도로 엄청나게 불어났다. 오죽하면 제주사람들은 이를 두고 내터졌다고 하겠는가.

모든 것이 다 바다로 떠밀려 내려갔다. 그 중에서 새 생명의 잉태를 기다리던 개구리알들도 무사했을까. 제주도롱뇽알도 걱정이었다. 아마도 한꺼번에 몰살했을 것이다.

자연의 순리인데 어찌하겠는가. 자연현상을 탓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하천 정비사업으로 도내 소규모의 하천 바닥들이 아주 깨끗하게 정비되면서 상대적으로 불운아들이 생겨버렸다.

계곡과 하천은 물이 고일 수 있는 습지환경으로 개구리들의 번식장소로 매우 소중한 서식공간이다. 제주도는 연중 물이 흐르는 하천이 절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비가 내리더라도 곧바로 지하로 스며들고 설령 이번처럼 큰 비가 내리더라도 금방 바다로 흘러가버린다. 또한 마을 연못이 매립되고, 습지 분화구가 육지화되면서 개구리의 산란장소가 날로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천 정비사업은 친환경적으로 정비되었다고 하나, 습지에 의존하는 개구리 입장에서는 치명적이 아닐 수 없다. 하천 바닥이 깨지고 하천 옹벽이 거대해지면서 하천 생태 원형이 사라져버렸고, 하천 환경에 의존하는 여러 생명들이 비가 오기보다는 오히려 비가 오면 걱정해야 할 판이다.

다행인지 몰라도 제주환경운동연합에서는 도내 정비된 하천을 대상으로 모니텅을 실시하고 있다. 하천에 모여 사는 돌맹이, 야생화와 나무들, 새와 개구리들 그리고 하천 주변에 숨어있는 문화재 자원, 하천 정비의 효과와 새로 생긴 문제점 등을 파악한다기에 기대가 크다.

지난 일요일, 한라수목원 생태 연못에서 엊그제 폭우를 악천후를 잊은 듯 참개구리들의 합창이 우렁차다. 엄마, 아빠 개구리들이 울음소리가 어찌나 크게 들리는지 꼭 죄 지은 듯 발걸음이 무겁다.

 
김완병씨는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 학예연구원으로 근무합니다. 조류 등 동물분야에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