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 화목한 시민인문학 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 모집기간: 2024. 5. 3.(금) ~ 5. 12.(일) ❍ 모집인원 - 화요인문 아카데미: 40명 - 목요인문학 특강: 각 강좌별 70명 ❍ 신청방법: 온라인 선착순 접수(제주시평생학습관 홈페이지) ❍ 운영일시: 2024. 5. 14.(화)부터 매주 화·목요일 저녁 7시 ❍ 내 용 - 화요인문 아카데미: 하나의 인문학 주제에 대해 3회차 강의 - 목요인문학 특강: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1회성 강의 ※ 5월 화목한 시민인문학 아카데미 운영일정 구분 교육일 강사명 주제 화요인문 아카데미 2024.5.14.~5.28. (화) 하진희 (前도립미술관 운영위원) 미술과 함께하는 멋진 삶 목요 인문학 2024.5.16.(목) 박석신 (목원대 교수) 당신의 이름이 꽃입니다 2024.5.23.(목) 우항수 (울산대 겸임교수) 에너지변환이 산업혁명이다 2024.5.30.(목) 이호선 (숭실사이버대 교수) 21세기 부모리더십과 돌봄기술 문 의: 제주시 자치행정과(☎064-728-8683)
□ 제주시 개인지방소득세 확정신고 개요 ❍ 신고 대상: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의무가 있는 자 ❍ 신고·납부기간: 2024. 5. 1. ~ 5. 31. (성실신고대상자는 7.1.까지) ❍ 신고·납부방법 - 전자신고(홈택스→위택스) - 모바일앱 신고(손택스→위택스) - 방문신고 ❍ 방문신고 장소: 제주시 세무과(지방소득세팀 신고창구), 제주세무서 ❍ 운영방식: 모두채움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를 방문 대상으로 하되, 도움창구와 자기작성 창구로 이원화하여 운영 ❍ 전담 콜센터 운영 - 지방소득세 상담 콜센터: ☎1661-6669 - 국세청 콜센터: ☎126 - 제주시 세무과 개인지방소득세 신고창구: ☎064-728-2353
□ 제주시 청년 글로벌기업 취업멘토링 콘서트 일시․장소: 2024. 5. 11.(토) 13:00~17:30, 제주벤처마루 10층 대강당 참 여: 도내 청년, 대학생 100여 명 내 용 ① 국내외 글로벌기업 취업 특강 ② 공개 모의면접 ③ 패널토론(현장 멘토, 멘티 취업 Q&A) ④ 기업 멘토링 *참여기업(15개): 구글, 나이키, 디즈니, 마이크로소프트, ASML, J&J, 삼성전자, CJ ENM, 네이버, SK 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전자, 크래프톤, 카카오, 제주항공 <참가 사전신청 (QR 접속 및 구글폼 작성)> ※ 문 의: 제주시 일자리에너지과(☎064-728-2282)
□ 제주시 시민참여 정원숲 「탐나는 정원」 참가자 모집 ❍ 모집기간: 2024. 5. 1.(수) 9:00 ~ 5. 3.(금) 18:00 ❍ 운영기간 및 장소: 2024. 5. 17. ~ 11. 30. / 사라봉공원, 우당도서관 등 - 교육시간 : 매주 수요일 9:00~12:00 (월 2회) - 봉사활동 : 교육기간 중 주 1회 (교육시간 외) ❍ 모집인원: 30명 (모집인원 초과 시 면접심사) - 면접: 2024. 5. 9.(목) 9:30 / 발표: 2024. 5. 13.(월) ※ 세부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대 상: 제주의 정원숲에 관심 있는 19세이상 제주시민 - 정원 관리 도구(장갑, 삽목삽, 호미 등) 지참 가능자 - 교육시간 외 주 1회 자원봉사활동 가능한 시민 - 『1365 자원봉사포털』가입한 시민 ❍ 참 가 비: 무료 ❍ 신청방법: 제주평생교육다모아(https://damoa.jeju.kr/index.htm) 접수 ❍ 문 의: 제주시 공원녹지과 녹지관리팀 (☎ 064-728-3571) ※ 세부내용: [제주시 홈페이지] – [정보공개] - [입찰·고시·공고]
□ 2024년도 제주시 주택가격 열람 및 이의신청 기간 운영 ❏ 열람 및 이의신청기간: 2024. 4. 30. ~ 5. 29. ❏ 열람 방법 ❍ 제주시 세무과, 읍면사무소, 동주민센터에서 열람가능 ❍ 인터넷 열람 :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홈페이지(www.realtyprice.kr) ❏ 이의신청서 제출 ❍ 주택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은 열람 기간 중에 제주시 세무과 또는 읍면사무소, 동주민센터 및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홈페이지 (www.realtyprice.kr)에서 이의신청 가능 - 문의전화(제주시 세무과) : 728-2341 ~ 5
□ 2024 제3회 노형동 4·3평화 올레길 걷기 행사 ❍ 일 시: 2024. 5. 11.(토) 09:30~13:00 ❍ 장 소: (개회식) 월산체육공원/ (본행사) 관내 4·3 유적지(해안-노형코스) 주 최 : 제주시 노형동 주 관 : 노형동주민자치위원회 ❍ 내 용 - 체험 프로그램 운영(4·3희생자 추모부스, 4·3사진전, 각종 체험 프로그램 등) - 올레길 걷기 행사 (2개 코스운영) 문 의: 제주시 노형동주민센터(☎064-728-4865)
□ 도립제주합창단 제주아트센터 기획연주회 <선물> ❍ 일 시: ‘24. 5. 28(화) 19:30 ❍ 장 소: 제주아트센터 ❍ 대 상: 제주시민 ❍ 내 용: 뮤지컬 형태의 가족 음악곡 ❍ 문 의: 도립제주예술단 (☎ 064-728-2745)
□ 제주시 어버이날 특별기획 <오방신과-스팽글> ❍ 일 시: ‘24. 5. 8(수) 19:30 ❍ 장 소: 제주아트센터 ❍ 대 상: 제주시민 (초등학생 이상) ❍ 내 용: K-전통팝을 선도하는 이희문과 밴드 허송세월, 놈놈이 함께하는 힙한 흥과 멋의 무대 ❍ 접수기간 및 방법 - ‘24. 4. 12(금) 14:00~ 지정좌석제 / 제주아트센터 홈페이지 ❍ 문 의: 제주아트센터 (☎ 064-728-1509)
□ 제주시 어린이날 특별기획 <몸으로 예술놀이> ❍ 일 시: ‘24. 5. 4(토) ~ 5. 5(일) 11:00, 14:00 / 총 4회 ❍ 장 소: 제주아트센터 세미나실 ❍ 대 상: 초등학생 (저학년 / 고학년 분리 운영) ❍ 내 용: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 접수기간 및 방법 - ‘24. 4. 19(금) 14:00~ 선착순 마감(회차별 12명) / 구글 폼을 통한 온라인 신청 ❍ 문 의: 제주아트센터 (☎ 064-728-1509)
□ 제주시 기적의도서관 개관 20주년 및 어린이날 행사 ❍ 일 시: ‘24. 5. 5(일) 13:00~16:00 ❍ 장 소: 기적의도서관 일원 ❍ 대 상: 제주시민 ❍ 내 용 - 공연: 기념식, 책넝쿨 우수 완주자 시상식, 미라클 매직 벌룬쇼 - 이벤트: 책 속 보물찾기, 나는야 뽑기왕 - 전시: 함께한 20년, 기적의 순간들 - 체험: 투명 캘리 액자, 카네이션 책갈피 만들기 ❍ 접수기간 및 방법 - ‘24. 5. 1(수) 10:00 ~ 마감시 / 제주공공도서관 홈페이지-프로그램 신청 (공연, 체험만 사전 접수) ❍ 문 의: 기적의도서관 (☎ 064-728-8561~2)
□ 제주시 별빛달빛 어린이 축제 ❍ 일 시: ‘24. 5. 5(일) 10:00~22:00 ❍ 장 소: 제주별빛누리공원 ❍ 대 상: 제주시민 ❍ 내 용 - 만들기 체험: 유료 6종, 무료 2종 / 홈페이지 사전예약(유료만 해당) / 신청기간 4. 30(화) 19:00 ~ 5. 3(금) 21:00 - 공연&놀이: ‘조이가락’ 공연, ‘소랑’공연, 가족게임, 마술 등 - 시설관람: 4D영상관, 천체투영실, 관측실 등 ❍ 문 의: 제주시 관광진흥과 별빛누리공원 (☎ 064-728-8900)
동홍동 愛 따뜻한 병원 동행의 손길 동홍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 강익자 “병원 동행의 손길이 필요하시다면 보호자가 되어 함께 하고자 합니다!”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보유한 필자는 늘 주민과 함께 나눔을 실천하고자 하는 소임을 갖는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에 작은 나를 보태고자 하는 마음이다. 동홍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으로 활동을 하며 이웃을 살피는 일, 지역주민과 함께하면서 나를 돌아보게 하고 나를 찾아가는 길이기도 하다. 이웃에게 말 한마디를 건네며 소소한 일상을 이야기하고 이웃에게 진정성 있는 관심으로 다가가고 있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 조사를 위해 가가호호 방문을 하며 어르신들이 몸이 아파 괴로워 하면서도 병원을 가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왜 병원에 가시지 않느냐 여쭤보니 “병원은 힘들어, 접수해야지, 진료 끝나면 약국도 가야지, 약국도 멀고 병원 가기가 쉽지 않아”라고 하시면서 아파도 집에 있다고 하신다. 필자도 요양보호사 일을 했는데, 당시 만났던 어르신들 역시 마찬가지다. 병원에 가시는 것이 어르신들은 무척이나 힘들어하시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았고, 우리 위원들도 비슷한 사례들을 들어 한 목소리를 내었다. 병원 동행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