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동두천 2.5℃
기상청 제공

서승모의 한방탐구

서승모 한의사는 원광대학교 한의과 대학 졸업을 하고 현재 '전농로 한의원' 원장으로 계십니다.
입냄새는 남에게는 물론 자신에게도 불쾌한 느낌을 주며 대인 관계를 회피하게 하여 사회생활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원인은 입안 문제가 때문인 경우가 많지만 신체 다른 질환에 의해서도 생길 때가 있다.

구취가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과 예방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입안의 침은 항균작용을 갖고 있어서 입안의 세균을 제거하고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밤에 자는 동안 침 분비가 줄어들면 여러 가지 병균이 증식을 하면서 생기는 데 이 때문에 아침에 입냄새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이 침 분비가 원활하지 않으면 구취가 생기는데 입마름병이 있거나 비염, 축농증으로 인해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나 입을 마르게 하는 작용이 있는 약을 복용하거나 다이어트 때문에 금식 하여 침 분비가 적어지면 입냄새가 나게 된다.

치아에 입안에 틀니나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여 음식 찌꺼기가 끼어 있거나 충치 플라그 등 치아질환이 있는 경우는 물론 치주염, 치은염, 구내염이 있는 경우에도 입냄새가 나기도 한다.
소화불량 ,위암 그리고 위장의 음식물이나 위액이 식도로 올라오는 위식도 역류증세도 임냄새를 유발하는데 역류성 질환에 의한 입냄새는 간헐적으로 나는 것이 특징이다.

코 질환도 구취를 유발 할 수 있는데 약물 유발성 비염, 위축성 비염, 만성 축농증, 코안의 이물질, 코속의 종양 등이 있을 때 코속의 점막에 변화가 생겨 세균을 증식하고 나쁜 냄새가 나게 된다.
기관지염, 폐렴, 기관지 확장증, 결핵, 폐종양등 폐질환도 구취를 유발할 수 있고 음식종류나 흡연, 음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 밖에도 비타민 결핍, 알콜중독, 당뇨, 결핵 , 요독증, 간질환, 류마티스 질환 등도 구취를 유발시킬 수 있다.
치료의 원칙은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인데 우선 전신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외의 원인에 대해서 진찰 받는 것이 중요하겠다.

흔히들 사용하는 입냄새 제거제는 근본적 치료가 아니고 단순히 순간적으로 입냄새를 가려주는 것에 불과하며, 알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들은 입안을 더 마르게 하여 증세를 더 악화시키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예방법은 칫솔질을 잘 해서 음식물 찌거기가 치아나 잇몸에 없어야 하고 치실을 통해 치아간 청소도 자주 하고 틀니 같은 치아 구조물을 장착하시는 분은 더 신경써서 해줘야 한다.
고기 섭취는 줄이고 과일 야채를 많이 먹고 흡연. 음주는 삼가고, 입마름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나 음료를 피해야 한다.

한의학적으로 보면 직접적인 원인은 입과 호흡기 이상으로 보지만 근본 원인은 오장육부의 이상으로 보고 특히 위열(胃熱)을 가장 많은 요인으로 보고 그 밖에 간(肝), 폐(肺), 신(腎)에 열이 있거나 비위(脾胃)에 습담이 있을 때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각 원인에 맞게 침구치료, 한약처방을 하게 된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해병대 9여단, ‘57주년 예비군의 날 기념행사
제주특별자치도는 예비군 창설 57주년 맞아 해병대 제9여단과 공동으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제주도는 4일 오전 도청 탐라홀에서 ‘제57주년 예비군의 날 기념행사’을 열고 예비군의 사명감과 자긍심을 고취했다. 이번 행사는 예비군의 희생정신과 노고를 격려하고, 민·관·군 간 통합방위태세 확립을 다짐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오영훈 지사, 좌태국 해병대 9여단장, 김달수 제주재향군인회장을 비롯해 통합방위협의회 위원, 안보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개식 선언을 시작으로 유공자 표창 수여, 도지사 축사, 국방부장관 권한대행 격려사 대독, 지역방위태세 확립 결의문 낭독, 예비군 군가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곽도영 예비군 일도2동 제1동대장과 김성관 예비군 송산정방동대장이 기관 표창인 제주특별자치도 통합방위협의회 의장 표창을 받았다. 이날 현장에는 곽도영 동대장이 참석해 직접 수여받았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도의 3만 명의 예비군 자원이 1만 여명의 공직자와 협력의 시스템을 잘 갖춰나간다면 우리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기상황이나 재난상황도 능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주도와 행정시, 읍면동 간 방위협의회를 내실 있게 운영해 지역 안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