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6.8℃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10.0℃
  • 맑음대전 8.0℃
  • 맑음대구 10.2℃
  • 맑음울산 8.5℃
  • 맑음광주 9.1℃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5.2℃
  • 맑음제주 11.2℃
  • 맑음강화 7.0℃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8.3℃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근대 제주지역 여성운동 연구」 보고서 발간

주여성가족연구원(원장 문순덕)은 근대 제주지역 여성운동의 태동과 성장의 역사를 조명하는 근대 제주지역 여성운동 연구(연구책임 고지영 임연구위원)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는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이 자체적으로 추진해 온 근현대 제주 여성사 구의 나로, 개항기~일제강점기 시대 제주 여성운동의 태동과 투쟁의 발자취를 조명, 그 의의와 시사점을 짚어내고자 추진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근대사 연구자료와 신문 기사 자료 분석 등이 이루어졌고, 근대 여성운동 연구사 고찰, 제주지역 여성운동의 태동과 성장, 그리고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제주 일본에서의 제주 여성의 운동에 대해 다룬다.

 

, 여성운동 관련한 당시 신문 기사 분석 및 연구사 고찰을 통해(II), 근대 한여성운동은 다양한 지형에서 활발히 어났, 이 시기의 여성운동은 성의 개화나 구국 운동의 차원과 더불어 성차별 저항이라는 중층적 성격을 띠었으, 이를 통해 여성의 지위 향상과 해방 후 여성운동을 이어가는 초석을 마련하는 의의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주지역 여성운동의 태동과 성장(III)에 대해서는 교육열을 가진 제주의 여성들이 일제의 탄압과 가부장적 억압에 맞서면서 민족의식과 여성해방 의식을 가지게 되는 배경, 그리고 그 여성들이 항일운동, 여성 교육 운동, 노동‧‧농민운동 등 여성운동가로 성장하는 과정과 의의를 조명한다.

 

주 여성의 항일운동으로는 1907~8년 마을 여성들의 국채보상운동, 1919년 조천만운동, 1920~30년대 도외 지역에서의 항일운동에 대해 조명한다.

 

여성교육운동으로 에 의한 여성 교육기관의 설립운영, 특히 명신야학여수원조천부녀제주여자학술강습소의 네 사례 연구를 통하여 주요 단체 및 참여 인물, 그리고 해방 공간으로 이어지는 여성운동가로의 성장을 분석한다. 여성 노동농민운동으로는 1930년대 장경렬, 박보홍 등의 운동을 다룬다.

 

1920~30년대 제주지역 여성운동의 전개(IV)에 대해에서는 마을별 여자청년회부인회소녀회 등의 단체 및 야학의 설립을 통한 여성동의 확산, 그리고 일제강점기 한국의 대표적 여성 노동운동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는 제주 해녀의 노동운과 항일운동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또한, 마을에서 결성된 여러 소비조합을 소개하고, 당시 제주지역 경제권을 장악했던 일본인 상인과 상권에 자주적으로 대항하려는 제주도민과 여성들의 민족 소비 운동으로서 소비조합운동의 의의를 짚는다.

 

1920~30년대 일본을 왕래한 제주 여성의 운동(V)에 대해서는, 제주인의 일본 도항과 정주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민족적, 계급적 착취와 함께 성차별 구조 속에 존재했던 제주 여성의 삶을 조명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쟁한 고순흠과 김문준 등의 일 운동에 대해 살펴본 후, 제주 출신 여성 운동가로서 강평국, 김시숙, 현호옥, 송춘화, 강계화, 이경선의 운동과 의의를 조명한다.


대 제주지역 여성운동 연구 조명은 많은 후속 과제를 남긴다


여성운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기 위한 향후 과제로 다양한 방법으로 항일 여성운동 기억계승하기(여성 독립운동가 서훈 추진을 비롯하여 제주 평화인권상 제정 등), 마을별 여성운동 역사 발굴 및 활용, 도외 지역 및 국외에서의 여성운동 사료 발굴과 조명, 일제강점기-해방-제주43으로 이어지는 성운동 조사와 여성운동가의 명예 회복, 국가 및 지역 역사 DB 플랫폼 검토 등 제주 여성사 지식 콘텐츠 생산구축보급을 위한 정책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주여성가족연구원 문순덕 원장은 이 연구를 통해서 근대 제주지역 여성운동의 의미가 새롭게 조명되고, 제주 여성사 정립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후속 연구사업이 활성화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