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제주화산섬 어떵 멩글아 져신고예

제주돌문화공원관리소에서는 4월부터 11월까지 한 달에 토요일 하루동안 사회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nd 제주화산섬이 어떵 멩글아 져신고예?박물관 대학을 운영한다.

 

2018년 박물관대학은 부산대학교 윤성효 교수를 초빙한 실내 강의를 위주로 진행하였다면, 2019년에는 제주도의 지질 전문가를 초청하여 제주도 주요 지질 현장답사지를 중심으로 운영함으로써 박물관의 사회교육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제주 지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획하였다.


 

2019년 박물관 대학은 제주 사회 각 계층의 지질환경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과 함께 지질 자원의 보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현장답사를 진행한다.


지난 4월과 6월에는 세계지질공원 지질 명소인 수월봉과 화쇄난퇴적구조를 간직하고 있는 송악산 등 화산쇄설층과 대평리 포구 박수기정 등 지하수 지질 현장답사를 운영하였다.


이번 7월 현장답사 프로그램은 ()Geo-Jeju 연구소장이자 곶자왈공유화재단 상임이사인 김범훈 박사를 초빙하여 제주시 한림읍의 천연기념물 제236호로 지정된 제주도 용암동굴지대의 한들굴 현장 답사를 운영(선착순 30명 돌문화공원 홈페이지 선착순 신청)한다.

 

다음 8월 화산지질 박물관대학 프로그램은 돌문화공원 학예연구사를 활용하여 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공연장에서 화성암의 조직과 구성 광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소개와 현미경을 활용하여 암석을 구분할 수 있는 실습 및 암석 밀도 측정 실습 등 실내에서 운영하는 지질체험교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프로그램 신청은 오는 722() 9시부터 평소에 제주 화산섬 지질에 관심 있는 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선착 50명에 한하여 돌문화공원 홈페이지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신청 가능. 2019년 화산지질 박물관대학 프로그램 참가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도청 및 돌문화공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

 

제주돌문화공원 양한식 소장은 2019년 화산지질 박물관대학은 기본적으로 현장답사를 위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지만, 8월 프로그램은 덥고 변덕스러운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실내 지질체험교실로 운영한다고 전하면서 제주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대시키고 제주 대표 박물관으로서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할 이번 프로그램에 관심을 당부하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