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먼지 쌓인 900평 제주벙커 세계적 예술공간 시동

 


한반도와 일본을 잇는 해저 광케이블을 관리하던 국가기반시설이 수십년의 먼지를 털어내고 예술공간으로 재탄생해 제주도민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한라산 동쪽 끝자락 큰물뫼오름 입구에 위치한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서성일로 1168번길 89-17(구 성산읍 고성리 2040-1번지).


  커피박물관 BAUM이 위치한 이곳은 성산일출봉이 바라다 보이는 2만2000여평 숲이 펼쳐져 있다.


  바로 그 숲 한가운데 풀과 나무에 가려진 900여평 규모의 벙커가 숨어있다.



  1980년대 국가기간 통신망 운용을 이유로 건립·추진된 벙커는 1990년 4월 노태우 대통령의 기념식수와 함께 준공식을 거쳐 완공됐다.


  1층 단층 건물인 이곳은 가로 100m, 세로 50m, 높이 10m에 이르는 900평 면적을 가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폭격에도 끄떡없을 정도로 정교하다.


  벙커 지붕 용적(루베)만 계산하면 약 5,500㎥정도로 레미콘 트럭 1,000대가 일시에 콘크리트를 쏟아 붓는 양과 맞먹는다.


  주요 국가 주요시설인 만큼 이곳은 과거 2중 철조망, 적외선 감지기, 초소 등이 설치된 채 현역 군인들이 철벽 통제하에 관리돼 왔다.


  하지만 2015년 1월 이수찬 대표가 이곳에 커피박물관 BAUM을 열면서 벙커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 1일 제주평화축제의 문화예술행사 '6일'전을 시작으로 약 37년만에 일반인들에 벙커가 처음 공개됐다.





  벙커는 비록 콘크리트 벽을 그대로 드러내거나 철골구조물이 노출된 날것이지만 사진, 콘서트, 공연, 설치미술 등 다채로운 문화프로그램으로 관객들에겐 감동의 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대만의 보얼예술특구나 중국의 다산쯔 798예술구, 영국의 발틱 현대미술센터 등이 버려진 공장, 창고에서 세계적인 문화공간으로 거듭난 성공사례다.


  오는 31일까지 이어지는 '6일'전 참여 작가는 홍종주, 이경재, 방문수, 김중백, UNI, Windston, 김종건, 방승철, 비아젬, 임인건, 남기다밴드, 살사 Ventus, 바다쓰기 김지환, 장정애, 수리수리마하수리, 이동희, 김두하, 방중현(무순) 등이며, 이들은 모두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예술인들이다.


  공연 및 부대행사는 지난 5일 플리마켓 벨롱장과 방승철, 비아젬 살사 Ventus 공연을 시작으로, 오는 19일 오후 2시부터 임인건,Windston, 수리수리마수리, 방승철, 남기다밴드의 공연이 펼쳐진다.


  또 전시 마지막 날인 31일에는 참여작가와 관객들이 한데 어우러진 연말파티도 열린다.


  전시를 기획한 방승철 제주평화축제 추진위원회 대표(가수·작곡가)는 "이번 전시는 사람, 문화, 자연이 공존하며 평화를 만들어내기 위한 시간으로 마련됐다. 버려진 공간에서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가치를 발견하고 의미를 되찾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순철 커피박물관 BAUM 대표는 "수십년 동안 손길이 닿지 않아 이곳은 삼나무와 편백나무 숲이 원시적인 모습 그대로"라며 "인위적인 벙커와 천혜의 자연이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하나된다면 이곳을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선물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