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명품.명소브랜드, 마을이 희망이며 경쟁력이다

 
무자년 쥐의 해가 시작됐다. 쥐는 부지런함과 풍요를 상징한다.

새 정부는 실용정부를 표방 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평화와 번영의 국제자유도시를 견인할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한지도 3년차를 맞았다.
우리 시는 이러한 시대정신에 맞추어 세계도시와의 경쟁력 있는 제주 만들기를 위해 뉴제주 운동의 일환으로 민간주도의 지역1명품 1명소 브랜드 특성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른바 ‘품격 높은 도시 · 품위 있는 사회’건설이다.
이러한 주민주도의 경쟁력 있는 도시 만들기의 핵심요인은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켰다는 선진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영국, 미국은 전원도시 구상발표와 도시미화 운동이 시발점이 되었고 일본은 마찌즈구리 운동이었다.
마찌즈구리 마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생존전략 운동이다. 이러한 차별화된 운동이 성공을 이끈다.

그렇다면 요즘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감귤생산조정제를 도입한지 10년이란 세월이 흘렀음에도 작년산 감귤가격 하락으로 이어진 것은 농가들의 주도와 동참 없이는 어떠한 정책도 성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주는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결국 ‘나 혼자만은 괜찮다’. ‘ 어떻게 비상품과를 버릴 수 있느냐’는 등의 무관심이 지역경제의 기반까지 흔들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는 것이다.

구 도심지역도 사안은 다르나 사정은 비슷한 것 같다.
쾌적한 정주여건 상실로 젊은이들은 떠나고 상권마저 시대의 벽랑에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특별자치도에서 구 도심권 회복을 위해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가시화해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과 상권 활성화에 심혈을 쏟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용담1동에서는 살고 싶고 찾고 싶은 돌아오는 구 도심권 실현을 목표로 금년 한 해를 미래 비전 구상을 구체화 해 실천하는 원년으로 삼아 나가고 있다.

즉, 뉴제주운동 실천과제인 명품.명소 브랜드 사업의 일환으로 ‘순도 100% 깔끄미 동네만들기’에 이어 2단계 과제로 민간주도의 ‘ 전통문화와 생태환경· 상권이 살아있는 쾌적한 행복도시이다.

이를 위해 새해 신년 원단 동 주민센터 공직자들이 촛불기원 · 풍선날리기 퍼포먼스를 통해 굳은 결의를 다진 바 있다.
상반기에는 미래비전 구상을 위한 정책포럼과 금년 말까지 동민 주도의 백년대계를 담은 중장기 종합마스터플랜을 확정할 계획이다.

아무리 거창한 비전과 훌륭한 정책을 구상해도 도민 모두의 동참과 참여 없이는 페이퍼 플랜에 불과하다는 현실을 굳이 감귤가격 하락 문제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체감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일 것이다.

용담1동은 쥐의 해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풀뿌리민주주의 근간인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건강한 공동체 복원에 나섰다.
경쟁력 있는 완성형 마을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지가 뜨겁다.

새해, 행복도시 용담1동을 만들기 위한 그 손길들이 아름답다.
마을이 희망이다. 그리고 경쟁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위원회, 한경면 찾아 주민과의 현장소통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6월 10일(화) 오후 4시, 제주시 한경면사무소에서‘2025년도 제2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서부서, 한경파출소), 자치경찰단이 참여해 한경면 주민자치위원회와 직접 소통하며 지역 치안 현안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자치경찰제 홍보 △기관별 주요 시책 설명 △주민 질의응답 및 현장 피드백 등으로 구성됐다. 서부경찰서 교통과는 고령자 보행사고 예방을 위해 실제 사고 영상을 활용한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해 무단횡단의 위험성과 안전 보행 방법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또한 서부경찰서는 마늘 수확기 절도 예방을 위한 민·관 합동 방범활동을 공유하며, 최근 고산리 일대에서 진행된 야간 순찰(70여명)과 특별방범대 운영 사례를 소개했다. 자치경찰단은 어린이·노인 보호구역 지정 및 해제에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현장 심의위원회' 운영을 소개하며, 올해도 주민과의 현장소통을 강화하여 관련 심의와 시설 개선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 현장에서는 시야 확보 미흡으로 인한 사고 위험 구간 정비, 신호 체계 개선, 외국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