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이것이 제주 생활체육 육상의 저력!

이것이 제주 생활체육 육상의 저력입니다.

 
전국 육상대회에서 금17, 은14, 동5개 등 메달 집계 36개 획득!!!
지난 6월 17일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에서 제주도육상연합회가 제16회 문화관광부장관기 전국 육상대회에서 일궈낸 값진 성과였다.

지금까지 제주도 육상연합회에서 단일대회에서 획득한 최고의 메달은 작년 울산에서 개최한 문관부장관기 대회에서 얻은 총 34개(금7, 은14, 동13)의 메달 전부였으나 이번 서울 대회에서는 그보다 2개 많은 총 36개의 메달을 획득하였고, 내용면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단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던 대회였다.

이번에 출전한 선수들은 지난 4월 도민체육대회와 육상연합회장기 대회에서 선발하였는데 출전 선수중 최고령자인 강순재옹께서는 83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5㎞마라톤과 200m부문에서 당당히 2관왕을 차지하여 원로 생활체육인으로서의 노익장을 과시하였고, 지승엽 선수 또한 100m, 200m, 400m계주 경기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여 출전 선수로는 유일한 3관왕 선수로 등극하기도 하였다.

또하나의 성과는 오는 11월 10일 제주 동부 일주도로상에서 개최 할 예정인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기념 제2회 평화의섬 전국 역전 경주대회"를 홍보하기 위하여 각 시도 연합회 임원과 선수를 대상으로 홍보용 전단지를 나눠주면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등 두번째 개최되는 역전경주에 타 시도의 많은 생활체육 회원이 참석할 수 있도록 홍보에 열을 올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경기진행미숙, 종료 후 종합성적 발표 지연, 부정선수 개입으로 인한 종합순위 변경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옥의 티”로 나타났는데 즐거운 생활체육행사가 집행부서의 특정 연합회 감싸기 등의 구태로 인하여 전국 대회가 변질된 것이 다소 아쉬움으로 생각한다.

생활체육은 말 그대로 순수한 아마추어 운동이다. 특히 육상은 다른 종목처럼 요행이나 행운이 없는 운동으로 출발에서 골인까지 오로지 자신의 힘으로 달성해야 기록으로 인정하는 경기이다. 그 과정에서 상대방과 치열하면서도 정정당당한 경쟁으로 결과에 승복하는 성숙된 체육 문화로 정착시키고, 좋은 기록을 낸 선수에게는 칭찬으로 격려하여 생활체육으로 자리 메김될 수 있기를 이번 대회를 거울삼아 기원하며 개인적으로 바쁜 가운데서도 육상연합회 사상 최대의 성적을 올리는데 힘써주신 출전 선수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국민생활체육 제주도육상연합회장 김동완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