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열매솎기를

 
‘09년산 감귤생산량 2차 관측조사(8월)결과 대풍작 예상으로 행정, 농·감협, 감귤농업인 등 도민 모두가 초긴장 상태로 해결책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선 시기를 감안할 때 열매따기 외에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인다.

먼저 2차 관측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제주시가 222천톤(33%), 서귀포시가 454천톤(67%)으로 도 전체적으로 676천톤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감산해야 할 물량은 적정 생산량 580천톤을 감안할때 제주시는 25천톤(26%), 서귀포시는 71천톤(74%)로 총 96천톤을 열매솎기로 따내야 한다.

열매솎기량은 나무에 달린 전체 열매중 극소과, 극대과, 병해충과 등 불량과를 중심으로 열매솎기를 하는데 불량과의 양이 15%가 안되면 상품을 포함해서라도 15% 이상을 필히 열매솎기를 실시해야 한다.

하루 한사람이 열매솎기 할 수 있는 평균량을 125㎏으로 봤을때 96천톤을 열매솎기 하려면 연인원 768천명이 소요되고, 중점적으로 9월 한달(30일)간을 열매솎기 기간으로 추진 한다면 하루 평균 25.6천명이 감귤원으로 출근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는 상식적으로는 불가능할 것 같아 보이지만 행정, 농·감협, 감귤농업인 등이 혼연일체가 되어 힘을 합치고, 특히 감귤농업인들이 감귤 제값을 받기 위한 의지에 찬 각오로 매일 감귤원으로 출근할 수 있는 용기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본다.

감귤의 생산량과 가격을 잠깐 비교해 보면, 생산량이 많을때가 생산량이 적을 때 보다 조수입이 현저히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1999년 생산량 638,740톤, 조수입 325,709백만원, 2002년 생산량 788,679톤, 조수입 316,494백만원, 2006년 생산량 631,324톤, 조수입 660,288백만원, 2007년 생산량 747,376톤, 조수입 431,883백만원이었다.

이런 경향으로 볼때 첫째는 맛 좋고 질 좋은 고품질 감귤을 생산해내야겠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생산량도 어느 정도 적정량이 되어야 좋은 값을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대풍작이 예상되는 감귤을 살리기 위해서는 필연코 열매솎기를 통해서 적정량을 생산해야만 하는 절체절명의 기로에 와 있다.

우리 행정에서도 여러분들이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주중은 물론 휴일에도 열매따기 일손돕기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앞으로 있을 감귤유통처리에도 지금부터 착실히 준비해서 감귤 수확철 여러분들이 한해의 농사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이럴때일수록 우리 모두는 힘을 합쳐 제주특별자치도민이 저력을 발휘해서 적정생산량인 580천톤을 기필코 달성함으로써 감귤의 제값을 받아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자랑스런 제주특별자치도민이길 바란다.

서귀포시 친환경감귤농정과장 오 태 욱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안전한 민원환경 조성’ 제주도, 특이민원 대비 모의훈련
제주특별자치도가 민원인과 공무원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상호 존중하는 민원문화 조성을 위해 12일 ‘특이민원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제주도는 이날 오후 제주도청 민원실에서 민원 응대 공무원, 청원경찰, 제주지방경찰청과 합동으로 이번 훈련을 진행했다. 모의훈련은 민원 담당자에게 폭언이나 폭행을 하는 특이 민원인으로부터 담당 공무원을 보호하고, 다른 민원인의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이번 모의훈련에서는 지난해 10월 개정된 「민원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주요 내용을 반영했다. 개정된 시행령은 다른 민원인이나 담당자에게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행위에 대한 퇴거 명령 등 법적 근거를 강화해 민원실 내 모든 이용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뒀다. 훈련은 실제 상황을 가정해 △상급자의 적극적 개입과 중재 △상담 내용 녹음 사전 고지 및 실시 △비상벨을 통한 경찰서 연계 대응 △필요시 청원경찰의 개입 △법령에 근거한 특이민원인 퇴거 조치 △관계기관 협조 등의 순서로 진행했다. 특이민원 대응훈련은 제주도가 민원실 내 안전 확보를 위해 매년 상·하반기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훈련을 통해 비상벨 등 보호 장비의 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