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15.5℃
  • 맑음서울 19.9℃
  • 맑음대전 19.9℃
  • 구름조금대구 19.0℃
  • 구름조금울산 17.8℃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6℃
  • 맑음고창 19.7℃
  • 구름많음제주 21.7℃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8.4℃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21.2℃
  • 구름많음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3℃
기상청 제공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국회 세미나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제주 지역 국회의원들이 국회에서 힘을 보탰다 .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김한규 문대림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제주연구원이 주관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세미나  가 10 일 오후 2 시 국회의원회관 제 2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

 

개회식에는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해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에 역할이 분담되고 생활자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제주형 기초자치단체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법률 지원 재정 지원 등을 적극 뒷받침하겠다 .

 

2 부 세미나에서는 강창민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대한민국 자치분권의 새로운 모델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를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

 

이어 실시된 토론에서는 좌장을 맡은 양덕수 제주연구원장의 주재로 전문가 패널들이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과제를 제언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

 

토론에 참석한 박기관 상지대 행정학부 교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주민의 의사를 서둘러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결집해 전략을 세워야 한다  며  기초 단위의 행정 · 재정 특례를 전폭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고 제언했다 .

 

박형준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는  단순히 18 년 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 새로운 제주형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  며  기초의회 제도를 새롭게 접근하거나 제주의 주민자치 조직을 활용하는 등 상상력을 발휘해야 한다  고 말했다 .

 

홍준현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는  특자도의 지위를 최초로 창설한 제주인 만큼  특별자치  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전제돼야 한다  며  도민이 아닌 일반 국민도 유일한 그리고 최선의 대안으로 납득할 수 있도록 당국이 설득해야 한다  고 덧붙였다 .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는  이런 논의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주민들의 의문을 해소하기 위함일 것  이라며  비판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을 차분하게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계속해서 갖춰 나가야 한다  고 당부했다 .

 

남호성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제도과장은  행정안전부가 무조건 반대한다는 인식은 오해  라고 일축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지방자치 역사에 큰 이정표가 된 사례이기 때문에 제도적 관점에서 특례와 사무 배분 등을 종합적으로 신중하게 접근하겠다  고 답변했다 .

 

강민철 제주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설치준비단장은  행정시의 기능을 꾸준히 보완해 왔지만 지방자치 원칙상 선출직 시장의 역할 사각지대는 해소되지 않았다  며  도민의 참정권과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부작용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고 말했다 .

 

이날 위성곤 의원은  제언해주신 내용들을 바탕으로 깊이 있게 연구해 국회 정부 도정 간 협력을 이끌어내겠다  며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통해 시민주권시대를 열고 대한민국 지방자치가 한 발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