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장애인 통합돌봄과 향후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김경미의원이 좌장을 맡은 지역사회 통합돌봄 성과평가 및 향후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11일 아젠토피오레컨벤션 2층 아젠토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토론회는 제주시와 사회적협동조합 희망나래 부설)제주시장애인지역사회통합돌봄지원센터(센터장 현명헌)가 공동주최하였고 2022년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19~223개년 성과를 평가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을 위한 향후 지원 방안 모색을 통해 지역사회 통합돌봄 및 자립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장이 되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장애인 분야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자립을 해나가고 있는 문홍필양예진 부부와 양한철님이 사례발표자로 참여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에 대한 목소리를 내주었고 주제발표로 제주대학교 실버케어복지학과 고관우 교수가 제주형 커뮤니티케어 성과 평가 및 향후 방안에 대해 진행했다.

 

고관우 교수는 장애인의 자립을 위해서는 민과 관의 협력 체계 및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며 지자체의 책임성이 강화되면 민·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서 분절적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포괄적 서비스 전달 체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시사했다. 향후 과제로는 자립생활주택에 대한 장애인복지법상의 명확한 기준 마련이 검토되어야하고 전문인력또한 새로운 일자리로서 제도적/법적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첫 토론자인 강문종 지원주택 입주자는 AAC(보완대체의사소통)가 활성화되려면 장애당사자의 교육보다는 비장애인들에게 전파하는 교육이 더 필요하고 시급하다고하며 비장애인들에게 활성화가 되어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데 한발짝 더 나아가는 사회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진 토론자로 고경희 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종합복지관장 김도영 제주국제대학교 교수 현명헌 제주시장애인지역사회통합돌봄지원센터장은 협력기관과의 사업연계 후속조치와 보건의료영역의 강화, 새로운 직군(행복플래너, 자립지원사등)에 대한 이해도와 안정성, 주민참여 유도 및 지속·체계화, 주거 정책 등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보건복지여성국 강인철국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이경심의원, 원화자의원, 제주시 복지위생국 강성우국장이 참석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에 대한 향후 방안에 대해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