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서승모의 한방탐구

국화는 종류가 200여 종이 넘는다고 하는데 계절별로 분류하면 하국(夏菊), 추국(秋菊) 동국(冬菊)으로 꽃 모양에 따라서는 소륜(小輪), 중륜(中輪), 대륜(大輪)으로 나누고 색깔은 황색 백색 분홍색 자색 등 여러 가지 색채를 가지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백국(白菊), 황국(黃菊), 야국(野菊) 크게 세종류로 분류하고 그 효능을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우선 백국은 열을 내리는 작용은 약하나 간(肝)을 평(平)하고 눈을 맑게 하는 효력이 양호하고 황국은 열을 내리는 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풍열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야국은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이 다른 국화에 비해 강하다.

 

‘동의보감’에서는 특히 백국을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보하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는 작용이 가장 좋다고 기록하고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중풍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두통이나 어지러운 데 효능이 크며 결막염이 발생하였거나 눈이 충혈이나 가려움증 눈물이 나고 눈꼽이 끼는데 특효가 있을 뿐 아니라 편두통 축농증 비염 등 머리에서 발생한 모든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이야기 하고 있다.

 

국화에 대한 기록을 역사문헌을 찾아보면 ‘삼국사기’에는 신라 때 국화를 태워 약으로 썼다고 하고 있고 세종때의 ‘향약집성방’에서는 국화는 맛이 달고 오래 먹으면 몸의 원기와 혈액을 이롭고 몸이 가벼워지며 노화를 예방 장수하는 약초라고 이르고 있다.

 

‘증보산림경제’에서는 “황국꽃잎에 녹두 녹말을 묻히고 잠깐 데친 후 건져서 꿀을 타 마신다” 라고 하였고 영조때의 ‘규합총서’에는 “감국화가 반만 필 때 따서 푸른 꼭지를 떼어버리고 좋을 물에 달여 꿀에 먹는다”라고 설명해 놓고 있다.

 

집에서 국화를 말려 차로 먹는 법은 농약 위험이 없는 지역이 국화의 송이만을 채취한 후 흐르는 물에 꽃가루 등을 깨끗이 세척하고 찜솥에 소금을 넣은 물로 살짝 쪄내고 그늘에 두고 말리는데 꽂을 붙지 않게 말려야 꽃 모양이 유지되며 차로 마실때는 10송이 정도에 물 150씨씨 정도 넣고 우려서 먹으면 좋다.

 

주의할 사항은 국화는 성질이 차기 때문에 기가 약하고 위(胃)가 찬 경우나 잘 먹지 못하고 설사하는 경우에는 안 먹는 것이 좋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