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흐림동두천 12.1℃
  • 흐림강릉 7.8℃
  • 흐림서울 18.4℃
  • 흐림대전 21.4℃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9.0℃
  • 구름많음광주 19.1℃
  • 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8.9℃
  • 맑음제주 25.2℃
  • 흐림강화 12.7℃
  • 구름많음보은 11.4℃
  • 구름많음금산 21.0℃
  • 흐림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5.5℃
  • 구름많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2024년 2분기 ‘서귀포in정’ 입점업체 모집 알림

  • No : 814740
  • 작성자 : 고은비
  • 작성일 : 2024-03-28 20:57:00
  • 분류 : 제주시

모집기간 : 2024. 3. 20() 4. 5()

모집대상

- 20242분기 판매가 가능한 제주특별자치도 내 농수축산물

- 제주특별자치도 내 생산된 농수축산물을 가공한 상품

서귀포지역 내 생산된 농가 상품을 우선으로 함.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접수 및 문의 : 서귀포시 감귤농정과 ( 064-760-2882, 2883)

피터팬랩 제주지점 ( 064-739-9773)

 

 

 

 

해당 소식은 서귀포시의 요청 및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번호
말머리
제목 작성자 작성일
3864 [제주시] 제주시 2025년 인증음식점 조리장 환기시설 청소비 지원 새글 고창일 2025/03/22
3863 [제주시] 도립제주합창단 제116회 정기연주회 새글 고창일 2025/03/22
3862 [제주시] 제주시, 사회복지법인 외부추천이사 공개 모집 새글 고창일 2025/03/22
3861 [제주시] 제주시 2025년 봄철 꿀벌 관리요령 교육 추진 새글 고창일 2025/03/22
3860 [제주시] 제주시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새글 고창일 2025/03/22
3859 [제주시] 제주별빛누리공원, 개원 16주년 기념 ‘별빛퀴즈 챌린지’ 개최 고창일 2025/03/07
3858 [제주시] 도립제주교향악단 제176회 정기연주회 고창일 2025/03/07
3857 [제주시] 제주시 2025 역사문화박물관 대학 수강생 모집 고창일 2025/03/07
3856 [제주시] 제주시 불법 주·정차 단속 점심 유예시간 연장 시행 고창일 2025/03/07
3855 [제주시] 제주시 2025년 여성농업인 행복이용권 지원사업 고창일 2025/02/28
3854 [제주시] 2025년 제주시 농민수당 지원사업 고창일 2025/02/28
3853 [제주시] 제주시, 2025년 제주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 모집 고창일 2025/02/28
3852 [제주시] 제주시, 2025년 3월(4월 개시) 발달재활서비스 이용자 모집 고창일 2025/02/28
3851 [제주시] 제주시 2025년 친환경농업직불금 신청 ‧ 접수 고창일 2025/02/28
3850 [제주시] 제주시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 접수 고창일 2025/02/28

와이드포토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
서귀포시, 지역건설경기 활성화 모색 서귀포시는 지난 25일(화) 서귀포시청 별관 셋마당에서 서귀포지역 건축사회, 오순문 서귀포시장, 안전도시건설국 국·과장, 서귀포시 건축 담당 공무원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건설경기 활성화 토론회 및 건축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에 앞서 서귀포지역 건축사회에서는 서귀포시 교육발전기금 200만원을 기탁하여 지역 교육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나눔을 실천하였다. 서귀포 지역건축사회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총 1,400만원을 교육발전기금으로 기탁해오고 있다. 또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원도심 및 전통시장 내 건축물 증축, 용도변경으로 인한 주차장 설치가 곤란한 건축물에 대해 부설주차장 설치 의무면제 제도를 시행을 논의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안에 관한 토론이 펼쳐졌다. 오순문 서귀포시장은 “이번 지역 건축사 회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건축사에서 제시한 의견을 적극 검토하여 향후 제도 및 시책에 반영하여 서귀포시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당부하였다. 서귀포시에서는 이번 토론회 및 워크숍을 통해 지역건축사회와의 협업을 통한 지역경제 상생방안에 대해 여러 의견들을 청취하였으며, 향후 도정 및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