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음은 협정조인식 직후, 고 총장이 몽골 올라바타르 현지 TV방송사와의 인터뷰 내용
몽골에 대한 이해와 소감은?
▶몽골국립대학교와 제주대학교간 사전 협의를 거쳐 학술교류협정을 공식 조인하게 됨에 따라, 몽골 국립대학교 강척 총장님께서 저를 비롯한 제주대 방문단을 초청해 주셔서 이렇게 몽골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몽골은 세계 8대 자원국가로서, 한국과 몽골은 1990년 3월 수교하여 올해로 16년이 되었습니다.
현재 몽골을 찾는 외국인 중 한국 관광객이 가장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는 경제와 인적교류가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하겠지요. 한국과 몽골은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공통점이 많습니다. 체질 인류학적 관계에서도 얼굴형이 닮고, 갓난아기의 엉덩이에 나타나는 몽골반점 등은 서로 형제와 같은 친근감과 동질성을 느끼게 합니다. 한국사람과 몽골사람은 서로 거부감 없이 잘 통하는 것 같습니다.
양국 간에 환경적인 차이도 있습니다. 몽골은 방목하고, 이동하는 스타일이고, 한국은 정착 농경문화라는 데서 출발했습니다.
양 국가는 운명적으로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몽골은 지하자원이 많고 ,축산분야에서도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많은 나라이며, 한국은 그런 자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입니다. 앞으로 교육과 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몽골 국립대와 협정을 체결하게 된 동기는?
▶몽골국립대학에서 우리대학과의 교류협력을 희망하고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지난 1월에 우리대학 강영순 교수와 임화순 교수를 보내어 몽골국립대학 강척 총장을 예방하여 구체적인 학술교류방향을 논의하도록 한 바 있습니다.
몽골국립대학교는 1991년 10월에 국제관계대학내 정식학과로 한국학과를 설치하여, 학생들에게 한국어뿐 아니라 역사,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전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몽골 학생들이 대한민국 제주대학교에 진학하고 싶어하고, 한국어 연수에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몽골 국립대학은 몽골 유일의 종합국립대학으로 명성이 나 있고, 전 세계 110여개 대학들과 교류협정을 맺고 다양한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활발한 교류협력을 추진하고 있고, 제주대학교 역시, 교육과 연구활동의 국제화라는 정책 방향, 이른바 아시아프로젝트 추진과 연계되어 교류협정을 맺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제주대학교의 계획은?
▶제가 취임한 이후 우리대학에서는 대학의 국제화에 주력하고 있는데, 교육·연구의 국제화 전략으로 아시아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실행으로 몽골을 비록한 아시아 지역의 대학·기관들과 네트워크 구축과 활발한 교류 협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교류협정 체결을 계기로 학생교류 뿐만 아니라, 교수들 간의 공동연구 등 제주대학교와 몽골국립대학간의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교류협력이 진행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몽골국립대학에서 저를 비롯한 제주대학교 방문단을 초청해 주신 강척 총장님께 고마운 말씀을 전하며, 몽골 교류 중 따뜻한 배려와 협조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