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도, 스마트특성화 사업 3년 연속 2개 과제 선정

제주도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2022년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사업3년 연속 2개 과제가 선정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22년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사업에 청정 바이오소재 코스메틱산업 육성 기반 고도화 사업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기반 민간시험 평가·인증 지원시스템 구축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특성화 사업은 지역의 노후화된 장비 교체 및 업그레이드를 통한 산업기반 고도화로 미래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신산업을 육성하고, 기술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디지털·비대면 산업이 부각됨에 따라 제주테크노파크와 함께 스마트특성화 신규사업 과제 발굴을 위해 지역대학 및 혁신기관과 산업기반 고도화를 통한 시장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뒀다.

 

2022년 최종 선정된 스마트특성화 사업은 2개 사업·190억 원(국비 117, 지방비 73) 규모의 장비고도화 사업으로 노후화된 기반시설을 최신설비로 교체하게 된다.

 

청정 바이오소재 코스메틱산업 육성 기반 고도화사업은 급변하는 화장품산업의 트렌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제주 맞춤형화장품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제주화장품공장 리노베이션 및 제주·시험분석 장비 확충 등을 통한 화장품 기업 기술력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기반 민간시험 평가인증 지원시스템 구축사업은 제주도내 전기차 말소 차량 증가와 민간기업의 전기차 기반 사용 후 배터리 활용 증가로 인한 산업제품 개발·안전성 확보를 위한 인증지원을 마련하고, 사용 배터리 활용 제품 다각화에 따른 민간기업의 시험인증 기술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산업화 기반을 확대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도내 산···연이 스마트특성화 사업을 통해 교체된 최신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장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형석 도 미래전략국장은 스마트특성화 공모사업에 3년 연속 2개 과제가 선정돼 제주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큰 도움을 되고 있다면서 “K-뷰티 제주화장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주도의 사용 후 배터리 전주기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2020년과 2021년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사업에 각각 2개 사업이 선정된 바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생명의 길' 제주 바다까지...전국 최초 해양경찰 우선신호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과 관광객의 생명을 구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해양경찰 긴급차량까지 확대 적용한다. 이로써 해상사고 발생 시 바다에서 육지까지 끊김 없는 골든 타임 확보 체계가 완성된다. 제주도는 20일 오전 도청 백록홀에서 제주지방해양경찰청과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확대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박상춘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오충익 자치경찰단장 등 협약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과 기후변화로 인한 어선·연안 사고 등 해양사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기존 소방차량 중심의 육상 구조체계에 해양경찰 긴급차량을 추가해 해상에서 육상까지 연계된 통합 구조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해상사고 발생 시 해양경찰이 항구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교통체증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해 인명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긴급차량이 접근하면 전방 5개 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해 교차로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2020년 13개 교차로에 시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