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칼럼)성은(聖恩)이 망극(罔極)하다는 언론

삼성 상속세와 예술품 기증에 눈물을

대한민국이 성은(聖恩)이 망극(罔極)하옵니다를 외치고 있다.

 

사극을 보다보면 가끔 듣게 되는 이 말을 직접 표현한 것은 아니지만 비슷한 뉘앙스를 21세기에 접하게 된다는 점이 생경스럽다.

 

임금이 신하를 향해, 혹은 백성들에게 어떤 은혜를 베풀라치면 신하들은 일제히 머리를 조아리며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를 크게 합창하는 그 모습.

 

공화국이 아닌 왕조시대에 펼쳐졌던 그 광경을 지금 시대에 다시 볼 수 있다니 참으로 다이내믹한 대한민국이 아닌가 싶다.

 

여기서 성은이란 임금의 큰 은혜를 의미하고 망극은 다함이 없다, 끝이 없다정도로 해석된다.

 

고 이건희 일가가 상속세 납부계획, 수립 미술품 기증 등이 언론의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삼성 상속세를 가슴 아프게 여기는 부류들

 

삼성이 내야 할 상속세는 12조원대로 알려져 있다.

 

대다수 언론들은 너무 많다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으며 일부는 해외언론의 비슷한 평가를 가져다 도배하는 실정이다.


실제 유럽 등은 보유세 등을 평소에 높은 비율로 내는 탓에 상속에 이르면 우리보다 그 세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부분은 싹 무시한다.

 

당장 내야 할 상속세가 많아 경제 위기 시대에 삼성에 대한 일가의 지배력이 약화 될 걱정을 낳는 형편이라고 탄식하는 언론.

 

반도체 대란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데 삼성을 이끄는 이재용 회장을 당장 석방해야 한다고 꾸짖는 언론.

 

이미 기득권 경제 단체들과 유사한 집단들은 이재용 사면 청원을 하기도 했다.

 

고 이건희 회장의 재산을 상속하기 위해 이미 편법을 저질렀고 이를 위해 정권에 돈을 갖다 바친 흔적이 유죄로 판단됐다는 점은 알 바 아니라는 것.

 

아니 알기는 알지만 누가 저렇게 돈 많은 회장님을 건들릴 수 있느냐는 논리에 이르기까지 한다.

 

거의 모든 언론들이 회장님, 우리의 회장님을 얼른 석방시켜 국가 경제에 이바지 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문을 넣고 있다.

 

사실은 이재용 석방이 이뤄질 경우 그 공적에 따른 광고 수주에 관심이 더 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말이다.

 

그 유명한 미술품들을 내놓는다니 이 어찌 감읍(感泣)하지 않을 수 있으랴

 

고 이건희 컬렉션을 기부한다니 언론들은 이제 온 몸을 부르르 떨고 있다.

 

한 언론은 모 예술가는 이건희 컬렉션을 보고 전율했다고 적고 있으며 어떤 언론은 그러한 예술품을 모은 것은 돈으로 설명되지 않고 거의 광기라고 분연히 떨쳐 일어났다.


이 기사들은 강물이 바다에 모이 듯 일정한 결론을 내고 있다.


상속세도 낼 거고 예술품도 엄청나게 기부하는 데, 풀어줘야 하지 않겠느냐는 논리.


그것도 '대한민국을 위해서'.

    


   백혈병 직원들에게 보상금 준다 못준다, 액수가지고 다투던 삼성에 그 비싼 예술품들이 있었다니

 

언론에서 소개하는 기증 예술품 목록을 보면 문외한이 판단해도 아주 비싼것 같다.

 

심지어는 국보들도 있고 유명 외국화가들의 작품도 들어 있다.

 

몇 억, 수십 억 하는 작품들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작품 몇 개 살돈을 직원들 안전에 투자했다면, 아니 나중에라도 산재를 입은 직원들에게 보상했다면 성은이 망극하다는 언론의 목소리를 짐짓 모른 체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 정도껏 하자.

 

그 예술품들이 정당한 절차와 세금 등을 내고 삼성가에서 확보했는지를 따지는 언론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이라는 공화국에서 21세기에 성은이 망극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줄이야.

 

참으로, 부끄러워지는 4월의 마지막 날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생명의 길' 제주 바다까지...전국 최초 해양경찰 우선신호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과 관광객의 생명을 구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해양경찰 긴급차량까지 확대 적용한다. 이로써 해상사고 발생 시 바다에서 육지까지 끊김 없는 골든 타임 확보 체계가 완성된다. 제주도는 20일 오전 도청 백록홀에서 제주지방해양경찰청과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확대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박상춘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오충익 자치경찰단장 등 협약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과 기후변화로 인한 어선·연안 사고 등 해양사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기존 소방차량 중심의 육상 구조체계에 해양경찰 긴급차량을 추가해 해상에서 육상까지 연계된 통합 구조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해상사고 발생 시 해양경찰이 항구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교통체증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해 인명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긴급차량이 접근하면 전방 5개 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해 교차로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2020년 13개 교차로에 시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