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7℃
  • 흐림강릉 29.5℃
  • 흐림서울 30.3℃
  • 흐림대전 27.3℃
  • 흐림대구 25.9℃
  • 흐림울산 22.8℃
  • 흐림광주 23.4℃
  • 흐림부산 22.9℃
  • 흐림고창 24.0℃
  • 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6.9℃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6.2℃
  • 흐림강진군 20.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0.2℃
기상청 제공

2023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운영

  • No : 814420
  • 작성자 : 고은비
  • 작성일 : 2023-09-11 15:13:10
  • 분류 : 제주시

행사기간 : ‘23. 9. 10. () 910~

장 소 : 조천읍 체육관

공연내용 : 음악, 다원예술 등 분야별 공연 팀 읍·면 방문 공연

참가팀명

분 야

출연인원

비고

1

소리께떼

다원예술

4

 

2

밴드이강

다원예술

4

 

주최/주관 : 제주시 문화예술과

문 의 : 제주시 문화예술과( 064-728-2716)

2023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행사 개요

행사기간 : ‘23. 6~ 11

장 소 : 제주시 7개 읍·(한림읍, 애월읍, 구좌읍, 조천읍, 한경면, 추자면, 우도면)

공연시간 : 회당 60~ 90분 이내

공연내용 : 음악, 댄스, 전통예술 등 분야별 공연팀 섭외 및 공모 선발 후 읍· 방문 공연

출 연 팀 : 25개 팀 (섭외) 10개 팀, (공모 선발) 13개 팀

 

번호
말머리
제목 작성자 작성일
3502 [제주시] 제2회 화북, 포구문화제 고은비 2023/09/27
3501 [제주시] 연동 지역의제 발굴 및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2023년 주민참여 원탁회의 참여자 모 고은비 2023/09/27
3500 [제주시] 2023 노형동 가을밤 행복음악회 개최 고은비 2023/09/27
3499 [제주시] 추석 연휴기간, 용강별숲공원 및 어승생한울누리공원 제례실 일시 폐쇄 알 고은비 2023/09/27
3498 [제주시] 2023년 제2회 제주시 공무직 공개채용 개요 고은비 2023/09/27
3497 [제주시] 「꿈꾸는 아이, 행복한 아이」 2023년 오라동 우리동네 체육대회 개최 고은비 2023/09/11
3496 [제주시] 2023 성안올레 걷기축제 추진 고은비 2023/09/11
3495 [제주시] 2023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운영 고은비 2023/09/11
3494 [제주시] 2023 청소년예술제 개최 고은비 2023/09/11
3493 [제주시] 2023 하반기 거리예술제 추진 고은비 2023/09/11
3492 [제주시] 2023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운영 고은비 2023/09/11
* [제주시] 2023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운영 고은비 2023/09/11
3490 [제주시] 2023 청소년예술제 개최 고은비 2023/09/11
3489 [제주시] 2023 하반기 거리예술제 추진 고은비 2023/09/11
3488 [제주시] 2023년 제주시 민방위 1차 보충교육 안내 고은비 2023/09/05

와이드포토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
서귀포시 동부보건소,“가가호호”찾아가는 영양상담실 운영 서귀포시 동부보건소(소장 고행선)는 영양플러스 대상자의 영양불균형을 해소하고 건강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가가호호”찾아가는 영양상담실을 월 2회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찾아가는 영양상담실’은 영양플러스 대상자 중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임산부 대상으로 영양사가 직접 가정으로 방문하여 대상자의 영양문제에 대한 맞춤 영양상담을 통해 영양행태개선 및 건강한 식생활 관리능력 향상을 위해 기획됐다. 대상자의 식생활 문제 진단에 따라 빈혈 및 고혈압‧당뇨 등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생활 관리와 칼로리 제한 식기류를 이용한 대상별 맞춤 식사계획방법, 제공되는 보충식품 활용교육 등 세부적인 개별상담이 진행되며, 올 12월까지 총 50여가구 방문할 계획이다. 영양플러스사업은 영양상태가 취약한 저소득층 임신·출산부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충식품을 제공하고, 영양교육 및 상담, 영양평가 등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영양문제를 해소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보건소 관계자는“지역 내 고령 임산부가 증가됨에 따라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영양관리서비스를 마련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양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임산부와 영유아의 균형잡힌 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