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6.7℃
  • 맑음서울 13.1℃
  • 맑음대전 13.9℃
  • 맑음대구 17.7℃
  • 맑음울산 17.3℃
  • 맑음광주 14.8℃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3.2℃
  • 맑음제주 15.3℃
  • 맑음강화 9.2℃
  • 맑음보은 13.8℃
  • 맑음금산 13.5℃
  • 맑음강진군 15.8℃
  • 맑음경주시 17.8℃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왜 토지분 재산세는 매년 오르는가?

 
일반적으로 경제성장과 더불어 물가지수가 상승하면 개별공시지가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개별공시지가의 상승은 바로 재산세 과세표준에 반영되어 재산세의 인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올해 서귀포시 공시지가는 전년대비 평균 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 2009년도 토지분 재산세는 전년대비 내려가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다”이다.

공시지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토지분 재산세가 오르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우선, 공시지가가 변동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토록 하겠다.

첫 번째, 공정시장가액비율이 2008년도 65%에서 2009년도 70%로 인상하였으므로 전년대비 과세표준(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7.7%가 증가되어 이에 따라 재산세도 오르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 공시지가에 몇%를 적용하여 재산세를 과세할 것인지를 지방세법에서 정해놓은 비율이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재산세의 누진과세 세율체계 때문이다.

먼저, 토지분 종합합산 재산세율 체계를 보면 과세표준 5천만원이하는 0.2%, 과세표준 5천만원 초과하고 1억원이하는 10만원에 5천만원 초과금액의 0.3%를 가산한 세율을, 과세표준 1억원 초과하는 경우에는 25만원에 1억원 초과금액의 0.5%를 가산한 세율이 적용된다.

녹지지역내 농지와 같이 0.07%의 단일세율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과세표준이 7.7% 상승하는 만큼만 재산세도 오르겠지만, 나대지와 같이 종합합산되어 과세되는 토지는 재산세가 전년대비 최저 7.7%에서 최고 15.4%까지 오른다.

예를 들어서 공시지가가 변동없고, 과세표준이 7.7% 인상된 경우 종합합산토지를 기준으로 살펴보자.
2008년 과세표준이 40,000,000원의 경우 2008년 재산세는 0.2%의 세율이 적용되고, 2009년에는 4,308,000원(과표7.7%인상)에 대하여도 0.2%의세율이 적용되어 재산세가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상승(7.7%)하는 만큼만 오르지만, 2008년 과세표준이 1억원인 경우 재산세는 5천만원은 0.2%세율, 5천만원은 0.3%의 세율이 적용되고, 2009년에는 과표상승분(7.7%) 7백7십만원(1억초과분)에 대하여는 0.5%의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과표상승율보다 세액이 더 오른다.

위와 같이 국가 정책상 과표현실화 단계에서 세금이 인상될 수 밖에 없지만 납세자 입장에서는 “최소한 자신이 납부하는 세금이 왜 올랐는지에 대하여는 알고 납부해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다.

서귀포시 세무과 김철식.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해병대 9여단, ‘57주년 예비군의 날 기념행사
제주특별자치도는 예비군 창설 57주년 맞아 해병대 제9여단과 공동으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제주도는 4일 오전 도청 탐라홀에서 ‘제57주년 예비군의 날 기념행사’을 열고 예비군의 사명감과 자긍심을 고취했다. 이번 행사는 예비군의 희생정신과 노고를 격려하고, 민·관·군 간 통합방위태세 확립을 다짐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오영훈 지사, 좌태국 해병대 9여단장, 김달수 제주재향군인회장을 비롯해 통합방위협의회 위원, 안보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개식 선언을 시작으로 유공자 표창 수여, 도지사 축사, 국방부장관 권한대행 격려사 대독, 지역방위태세 확립 결의문 낭독, 예비군 군가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곽도영 예비군 일도2동 제1동대장과 김성관 예비군 송산정방동대장이 기관 표창인 제주특별자치도 통합방위협의회 의장 표창을 받았다. 이날 현장에는 곽도영 동대장이 참석해 직접 수여받았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도의 3만 명의 예비군 자원이 1만 여명의 공직자와 협력의 시스템을 잘 갖춰나간다면 우리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기상황이나 재난상황도 능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주도와 행정시, 읍면동 간 방위협의회를 내실 있게 운영해 지역 안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