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제주 외국인전용 카지노, 2년새 입장객 3배 급증

제주특별자치도 내 외국인전용 카지노가 코로나19 이후 여행 패턴 변화에 힘입어 20~30대 중심의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며 지역 관광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주도는 도내 외국인전용 카지노 8곳의 20255월 기준 누적 입장객 수가 약 31만명으로 전년 동기(245월 기준 누적 247,000) 대비 25.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20235월 기준 누적 입장객 107,000명과 비교하면 약 189.7%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 회복세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과거 단체관광 중심에서 개별관광으로 여행 형태가 변화하면서 젊은 층의 제주 방문이 크게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카지노 이용객을 살펴보면, 입장객 주요 연령층이 기존 40대 이상에서 20~30대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카지노 입장객의 주요 연령층은 40대 이상이 61.2%(23.5월 누계)를 차지했으나 2024년도 52.7%, 2025년도는 49.5%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20255월 기준 20~30대의 입장객 비율이 50.5%로 과반을 차지하며, 연말까지 55%~6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2023년부터 제주 카지노 산업의 경쟁력을 알리기 위한 해외 홍보 및 시장 다변화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개별관광객 접근성이 높은 직항노선 도시를 중심으로, 해외 MZ세대 대상 유튜브 영상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인플루언서가 제주 관광지 및 카지노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송출하는 등 디지털 시대에 맞는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일본과 비중국 중화권의 패키지여행 수요에 대응해 해외 현지 여행업계를 대상으로 여행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아울러 제주도는 외국인 카지노 입장객 증가 추세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가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제주관광진흥기금 확보를 위해 카지노 마케팅 활성화 사업비를 지원하고, 국제선 직항 노선 확보 등 관광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희찬 제주도 관광교류국장은 건전한 카지노 산업을 육성해 도민과 제주 관광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철저한 관리·감독을 통해 제주의 긍정적인 관광 이미지를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