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칼럼)조선제일검? 웃기는 소리

정정당당하게 붙어야 그런 칭호를 얻지

어린 시절, 70~80년대엔 홍콩 무협영화가 국내에서 개봉만하면 히트를 친 세월이 있다.

 

검 하나로 세상을 헤쳐 가는 주인공의 모습은 지금의 마블시리즈 영웅에 못지않았다.

 

가장 기억되는 왕우(王羽) 주연의 외팔이 시리즈를 보면 악당들에게 팔을 하나 잃었으나 다시 검법을 익혀 그는 결국 중국제일검(中國第一劍)’의 자리에 오른다.

 

비록 영화지만 그 과정을 되새겨 보자.

 

제일 검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불리함을 딛고 일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도 많고 권력도 있고 검술이 쟁쟁한 부하들을 거느린 악당을 상대하는 것도 버거운데 외팔이 검객은 몸도 불편한데다 측근 혹은 가족 등이 인질로 잡혀 있기도 했다.

 

이를 극복해야 제일 검이 된다.

 

스토리가 진행되는 동안 주인공은 악당 두목과 결투에 이르기 전에 수하들과 몇 번 씩 목숨을 건 대결을 벌여야 한다.

 

겨우 이겨내 마지막 악당 두목과의 대결에 겨우 이를 경우 주인공은 온 몸이 상처투성이거나 독에 중독됐거나 사랑하는 이가 인질로 잡혀 있거나 등 도저히 정상적인 검술을 펼치기 힘든 지경이기 일쑤다.

 

그러나 관객들은 그런 불리한 조건을 딛고 악당 두목의 목을 벨 때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박수갈채를 보내곤 했다.

 

제일 검의 칭호를 얻고 안개나 노을을 배경으로 자랑할 것 없다는 듯 쿨 하게 사라지는 주인공의 흉내를 내며 어린 시절을 보낸 추억이 새롭다.

 

영미권의 법정 영화를 끌어들이자면

 

영미권 법정은 배심원제로 운영된다.

 

기소한 검사와 방어하는 변호사의 치열한 논리 싸움은 배심원들의 동의를 이끌어야 한다.

 

.무죄를 배심원들이 판단하는 까닭이다.

 

대표적으로 영화 타임 투 킬은 자신의 딸을 능욕한 쓰레기 백인을 총으로 응징한 흑인 아버지가 범행을 저지르면서 오발로 경찰관의 다리마저 부상을 입힌 사건을 풀어낸다.

 

미국 남부의 인종차별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재판은 더욱 변호사를 불리하게 만든다.

 

이 사건에서 변호사는 무죄를 이끌어 낸다.

 

앞의 외팔이 검객처럼 모든 게 불리한 상황 속에서 그 변호사는 제일방패가 됐다.

 

꽁꽁 묶고 어디가 아픈지를 겨냥하고 무차별 찔러대는 경우는 조선제일검이 될 수 없다.

 

다른 상황을 가정해 보자.

 

스페인 투우경기를 보면 클라이맥스에서 상처를 입은 황소를 향해 최후를 결정짓는 마타도르가 칼을 겨눈다.

 

황소는 이미 다른 투우사들에 의해 지쳤고 칼을 맞아 피를 철철 흘리고 있다.

 

그나마 이 경우는 황소로 하여금 그가 지닌 유일한 무기인 뿔로 승부를 볼 수 있게 허락한다.

 

잘하면 마타도르를 물리칠 수 있는 확률이 조금은 있다는 말이다.

 

반면 처음부터 황소를 꽁꽁 묶어 놓고 칼을 겨눈다면 어떻게 될까.

 

이는 승부가 아니라 작업이다.

 

포박된 황소를 향해 어디가 아픈지 골라 쑤셔대는 건 검객이 아니다.


포박하는 과정도 비겁한 장면을 동반한다.


거부하는 황소의 새끼를 잡아 '말 안들으면 송아지를 치겠다'고 으름장을 놓으며 분노한 황소의 힘을 빼기도 한다.


그런 조건에서 황소를 잡았다면 조선제일검이라고 외칠 수 있을까?

 

그건 조선제일검이 아니라 조선제일** 으로 읽힐 것이다.

 

요즘 회자되는 조선제일검이라는 말이 너무 오용되는 듯 해서 불편하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실전처럼 훈련” 제주소방, 주력소방차 조작능력 집중 점검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본부장 박진수)는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제주·서귀포·동부·서부소방서 등 도내 모든 관서를 순회하며 ‘2025년 주력소방자동차 조작능력 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펌프차, 화학차, 사다리차, 굴절차 등 4종의 주력소방자동차를 대상으로 기본 조작 능력과 장비 운용 숙련도를 점검하는 실전형 현장평가로 진행됐다. 사다리차·굴절차 부문에서는 고층 인명구조 절차와 고공 안전조작 기술을 점검했으며, 펌프차·화학차 부문에서는 화학사고 대응, 수원 확보, 방수압 유지 등 재난 현장 대응의 핵심 기능을 평가했다. 특히, 이번 평가에는 산불 대응 전문 교육도 병행됐다. 최근 증가하는 산불 및 자연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실습 중심의 교육으로, 산악지형 진입로 확보, 장비 배치 요령, 장시간 방수 운용법, 산불 진화용 호스릴 장비 조작법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소방안전본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운용자별 보완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우수 대원은 현장 교관으로 지정해 숙련된 기술을 타 소방서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박진수 소방안전본부장은 “주력소방자동차는 재난 대응의 핵심 수단으로, 장비보다 이를 다루는 대원의 숙련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