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6.1℃
  • 맑음강릉 19.3℃
  • 맑음서울 17.2℃
  • 맑음대전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18.6℃
  • 맑음광주 18.6℃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17.1℃
  • 구름많음제주 19.2℃
  • 구름조금강화 15.2℃
  • 맑음보은 17.3℃
  • 구름조금금산 17.8℃
  • 맑음강진군 19.4℃
  • 맑음경주시 18.8℃
  • 맑음거제 18.6℃
기상청 제공

제주 근‧현대사 관련 중요 민간기록물 25점 공개

제주특별자치도는 제2청사(별관)에 위치한 지방자치사료관의 전시물을 교체하고, 제주의 근현대사와 관련된 중요기록물을 공개한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되는 기록물은 지난해 수집한 민간기록물 25점으로 지방자치, 마을, 학교의 변천사를 조명할 수 있는 자료로 이뤄져 있다.


 

지방자치의 역사와 관련된 기록물로는 정부수립 이후 최초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른 조천면장 임명장(1949) 풀뿌리 민주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초대 도의원 당선 통지서(1952) 오늘날의 백서에 해당하는 도의회 업적 일람표(1956) 의사당이었던 관덕정에서 촬영한 도의회 개원 3주년 기념사진(1955) 등 정부수립 직후의 희소성이 높은 자료들이 공개된다.


 

마을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물은 상예2리 마을회에서 기증한 기록물로 마을주민의 인적구성을 보여주는 민적부(1909) 부엌·변소 개량, 농로확장, 식량증산 등에 관한 주민들의 대화가 꼼꼼하게 기록된 마을회의록(1965~1966) 리 단위에서 필사본으로 작성된 향토지()(80~81)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학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물로는 조천읍 선흘초등학교의 전신인 2년제 선흘간이학교 졸업사진(1938) 청소년 체조 도해본(1986) 한림여중 축제 사진(1987) 체육수업 지도안(1997) 등이 전시된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민간기록물 수집이 근현대 역사 사료의 보존·활용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방자치사료관 이용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전시관람 및 기증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총무과(710-2208)로 문의하면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