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맑음동두천 8.0℃
  • 맑음강릉 10.5℃
  • 맑음서울 11.0℃
  • 박무대전 10.5℃
  • 맑음대구 12.5℃
  • 박무울산 12.2℃
  • 맑음광주 12.4℃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12.3℃
  • 흐림제주 16.7℃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9.0℃
  • 흐림금산 11.3℃
  • 맑음강진군 13.7℃
  • 흐림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소암기념관 <제24주기 소암 현중화 선생 추모전 II> 개최

서귀포시(시장 김태엽)24주기 소암 현중화 선생 추모전 II <소암묵연素菴墨緣 깎고·빚고·쓰다> 소암기념관에서 26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21소암 현중화 선생 영면 24주기를 맞이하여 진행되고 있는 추모전 2부 전시로 소암 선생과 깊은 인연을 맺었던 목공예가 양승필 작가와 도예가 고원종 작가가 참여하여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두 작가의 목공예, 도예작품들은 소암 선생의 서예작품과 함께 배치하여 세 사람의 깊은 인연과 교우를 느낄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했다

 

목공예가 양승필은 소암 선생이 서귀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던 시절 제자이기도 했으며, 이후 목공예의 길을 걷기 시작하면서 소암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현재 기념관 내 조범산방(생전 작업실)에 남아있는 많은 가구들이 그의 작품이기도 하며 오래된 제주목(사오기, 굴무기)사용하여 기품 있으면서도 우아한 가구와 목공예품들을 전시에 소개하고 있다.


도예가 고원종은 젊은 시절 소암과 함께 생활하며 서예를 배우기도 했으, 소암 선생의 많은 작품들을 서각과 전각으로 작업하기도 하였다.


 

고원종 작가는 우리나라 전통 분청사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 해왔으며 단아하면서도 힘 있는 항아리, , 장군과 함께 소암의 글씨를 새긴 다기(茶器)들을 전시에 출품하였다.

 

이번 전시에서 특히 눈여겨볼 만한 작품은 3층 전시실에 소개되는 분청사기 항아리이다.

 

이 항아리에는大圓鏡上絶親疎(대원경상절친소) : 둥글고 큰 지혜의 자리에는 가깝고 멀게 지내는 것이 없다.라는 글귀가 쓰여 있으며, 이 작품의 낙관 부분을 보면 무진년(1988) 소암 선생이, 소전(고원종 작가의 호)이 직접 만든 항아리를 들고 찾아왔기에, 위의 글귀를 써서 서호(양승필 작가)에게 선물로 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소암 생전 세 사람이 나누었던 깊고도 따뜻한 정()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제24주기 추모전은 기존의 서예작품 위주의 전시와는 달리 1부와 2부로 나누어 다양한 장르의 작품 전시를 준비하였으며, 지난해 1219일까지 진행된 추모전 1부는 소암선생님의 서도(書道)를 계승하고 예술세계를 넓혀가고 있는 문하생 및 초대작가의 서예작품들을 전시하여 좋은 호응을 얻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이번 소암 현중화 선생 추모전 2부는 소암 선생이 서예가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 예술계의 큰 스승으로서 폭넓은 분야의 예술인들과 나누었던 인연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이다라고 언급하며, 전시 제목인 소암묵연(素菴墨緣)처럼 먹에서 시작된 인연과 예술정신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앞으로도 면면이 끊이지 않고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전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