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바람부는 제주, 그리고 제주여성’특별전

제주특별자치도 설문대여성문화센터(소장 고선애)바람부는 제주, 그리고 제주여성을 주제로 제주여성역사문화전시관 VR디지털 상설전시 특별전을 11일부터 내년 19일까지 60일 동안 개최한다.


 

바람부는 제주, 그리고 제주여성특별기획전은 거센 바람과 돌투성이 화산섬의 땅, 검푸른 바다의 척박한 환경에서 삶의 양지로 옹골차고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일궈온 제주여성의 삶을 새롭게 만날 수 있는 기회이다.


 

이는 제주여성역사문화전시관 2층에서 현재 전시되고 있는 상설전시 자료를 비대면·온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제주여성의 역사와 삶>, <제주여성 선각인물>, <제주여성과 4·3사건> 3부로 나눠 전시된다.

 

1<제주여성의 역사와 삶>에서는 강인한 생활력의 상징이자 제주의 어머니인 제주해녀, 방어시설을 지켰던 제주예청[濟州女丁], 불의한 권력에 맞서 의로운 여인 홍윤애, 흉년에 전 재산을 풀어 섬사람을 살린 전문경영인 김만덕을 비롯해 육성으로 듣는 제주여성의 삶과 제주여성 무형문화재까지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2<제주여성 선각인물>은 제주여성 선각자들이 격랑의 시기, 일제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가부장적 사회구조와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도 여성교육을 통해 여성의식을 일깨워 온 강평국(姜平國 1900~1933), 김시숙(金時淑 1880~1933), 최정숙(崔貞淑 1902~1977), 고수선(高守善 1898~1989)의 활동들이 다큐멘터리 영상과 함께 VR전시를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3<제주여성과 4·3사건>은 피비린 역사 속에서 가슴에 말로 다할 수 없는 분노와 회한을 품고도 무너진 서까래를 일으키고, 불에 타버린 쌀항아리의모살반 쌀반의 밥이라도 지어 아이들을 먹여 살리고, 밭일이고 물질이고 해내야 했던 제주여성들의 증언자료를 중심으로 실감기술을 적용해 제주도립현대미술관 기획전시실을 촬영하고 그 내용들을 재구성해 VR전시를 선보인다.

 

전시기간 동안 선착순 당일 예약을 통해 해설사와 함께하는 개인 사전예약제 관람도 할 수 있다.

 

전시가 이뤄지는 60일간(10~5시까지)동안 개인 사전예약제로 해설이 운영되며,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개인 5인 이내 동시 관람가능 하다. (관련 문의 및 접수 064-710-4242)

 

오는 22일 월요일부터는 설문대여성문화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온라인으로 VR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전시는 설문대여성문화센터 기획전시실에서 제주도립현대미술관 기획전시실, 제주문화예술재단 산지천갤러리로 전시공간을 확대해, VR디지털 온라인 전시를 통해 누구나 쉽게 언제·어디서나 관람할 수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