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진흥원,‘제27회 제주청년작가전’개최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예술진흥원(원장 부재호)11일부터 23일까지 문예회관 전시실에서 27회 제주청년작가전을 개최한다.

 

제주청년작가전은 청년작가들에게 창작 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미술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1994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27회 제주청년작가 공모에서는 회화 작품뿐만 아니라 조소 및 사진, 입체·설치, 미디어 작품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기법과 소재를 활용한 작품들이 응모됐다.

 

공모 결과 강태환(입체·설치), 김현수(평면), 현유정(미디어) 작가가 최종 선정됐다.

 

제주 출신인 강태환 작가는 광섬유라는 재료를 통해 재현된 공간을 표현한다.

 

강 작가는 제주대학교 미술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8년 가송예술상 대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 제주도립미술관 Young & Emerging Artist로 선정되기도 했다.

 

2020‘Heterotopia’ 개인전 및 2021 ‘서울공공미술 프로젝트그룹전, 서울25부작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김현수 작가는 유년시절 제주 자연에서 마주했던 기억 속 풍경을 토대로 현재의 내면과 무의식으로 재구성된 풍경 작업을 한다.

 

한지 위에 물감을 스미고 겹쳐내 쌓은 깊이감 있는 색감으로 제주의 푸르고 짙은 녹색을 재현하며, 작품에서 나타나는 장면과 형상들은 작가의 시선과 내면의 흔적을 나타낸다.

 

김 작가는 성신여자대학교 동양화과, 동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했으며, 2019 신한 영 아티스트 페스타에 선정됐다.

 

2021‘Unknown Island’ 5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제주와 서울에서 작업하며 다양한 기획전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현유정 작가는 를 주제로 미디어 작품과 애니메이션을 그려내어, 관람객들에게 힘든 시기에 자신을 돌아보고 알아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인다.

 

현 작가는 제주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학과에서 공부했다.

 

2019년 제3BIAF 단편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선정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2020~2021서울로미디어 캔버스 2020년 제4회 전시: 애니메이션 공모전에 참여했고, 2021년 세계 4대 애니메이션 영화제인 자그레브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비경선 파노라마 부문에 초청됐다.

 

전시 종료 후에는 문화예술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전시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예술진흥원은 제주미술의 역사와 함께한 제주청년작가전을 통해 청년작가 창작지원 활성화와 제주 미술의 활력소가 될 수 있는 역할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전시관련 사항은 문화예술진흥원 운영과(064-710-7633)로 문의하면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