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새콤달콤 깊은 맛, ‘아라주는 딸기’ 맛보세요

제주시 아라동(동장 오상석)에서는 새콤달콤하고 깊은 맛이 일품인 제주시 아라동의 아라주는 딸기428일부터 본격 출하하고 있어 홍보에 나서고 있다.

 

아라동은 제주 최대의 딸기 생산지로 유명한 곳으로, 현재 대략 40농가에서 딸기를 출하하고 있다.


재배는 오등·상동, 월평동, 영평하동 등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영평하동에서는 14가구(노지 8, 시설 4)가 재배를 하고 있다.

 

최근 도내 전체적으로 시설재배가 늘어나고 있지만, 주택개발과 농가 고령화로 노지재배 면적은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도 아라동 지역의 딸기는 여전히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현재 노지딸기의 명맥을 이어오는 곳은 제주시 아라동과 전남 담양군 두 곳뿐이다.

 

아라동주민센터와 영평하동마을회(회장 양광수), 부녀회(회장 현순실), 아라동연합청년회(회장 오승철) 등 여러 자생단체에서는 출하 시기에 맞춰 딸기 소비촉진을 위해 각종 홍보를 펼치고 있다.


특히 아라동연합청년회(회장 오승철)에서는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딸기농가 수익에 도움을 주기 위해 515일 토요일 10시부터 드라이브스루를 이용한 직거래 장터를 영평상동마을회관 인근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로 15회째 개최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아라주는 딸기지역특산물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새콤달콤 깊은 맛을 내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과일인 딸기는 비타민이 풍부하고 엘라기산이 포함돼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품종에 관계없이 달콤하고 맛있는 딸기를 고르기 위해서는 손가락 두 마디 정도의 크기를 고르는 것이 좋으며, 딸기 꼭지가 위쪽으로 뒤집혀있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영평동 딸기농가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로 직접 소비자를 만날 수 없어 아쉽다맛있는 노지딸기를 많이 찾아달라고 전했다.

 

오는 510일 월요일 저녁 6시에는 KBS1 6시 내 고향 프로그램에서 아라동 딸기가 소개될 예정이다.


KBS1에서는 이에 앞서, 53일 월요일 오전 9시에 영평하동 딸기농가를 방문하여 드론을 이용한 딸기 밭 촬영, 딸기 수확, 주물럭, 잼을 만드는 과정 및 시식 등을 촬영하고 영평하동 주민들과 함께 이야기를 담아낼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