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서귀포시 「싱크 Tank」! 미래전략팀 본격 운영

서귀포시8일 서귀포시청 너른마당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시민 행복 맞춤형 시책 개발 위한 2021년 미래전략팀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서귀포시 미래전략팀은 2010년부터 시작되어 올해 11년차를 맞이하였으며 지난해까지 63·435명이 참여하여 63개의 과제를 발굴하였다.

2021년 미래전략팀은 새내기 공직자(8, 9)가 주축이 되어 27(5)의 내부 직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오는 7월까지 4개월 간 퍼실리테이터와 함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시책을 발굴하게 된다.

특히, 금년 미래전략팀은 디자인 Thinking 기법을 새롭게 도입하여 시민 공감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대응 시책을 중점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서귀포시에서는 금번 우수한 시책들이 발굴되도록 제안시책 완성도 제고 및 시책 발굴 어려움 완화를 위한 멘토링제를 운영하고, 시책 발굴을 위한 강사 초빙 및 국내 벤치마킹 등 미래전략팀 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전략팀 시책 평가 시 시민과 함께 가꾸는 새희망 서귀포시 운영 기조에 발맞추어 시민들이 미래전략팀에서 발굴된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시민 평가(국민생각함 투표) 및 청중평가단 도입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점수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본인 업무로 바쁜 가운데도 4개월 간 미래전략팀에 참가하는 공직자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하였다.

시책 평가결과 대상팀에게는 해외 시찰, 최우수우수장려팀에게는 국내 시찰의 기회를 부여하는 등 모든 참가팀들에게 국내외 시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래전략팀 참여자가 소속된 부서에는 2021년 성과관리(BSC) 청렴시책 평가(적극행정 활성화) 점수를 부여할 계획이다.

서귀포시 미래전략팀은 지난해까지 63건의 발굴과제 중 작가의 산책길 조성, 도내 최초 사내대학인 배워사대 운영, 서귀포 늘품 마을학교 운영 등 41건이 시책으로 반영되어 시정에 활력을 주고 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변화와 혁신을 위한 치열한 고민의 시간이 새내기 공직자를 성장시키는 좋은 자양분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이 과정을 통해 참신하고 지속가능한 시책이 발굴되어 서귀포 시민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며, 금년도 발굴된 시책은 내년도에 사업비를 투자해서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