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주테크노파크 10년간 지원기업 “괄목 성장”

제주테크노파크 창립 10년 동안 지원받은 기업들이 괄목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태성길, JTP)는 최근 창립 10년간 제주지역 중소기업과 함께해온 성장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기술융합 중심의 미래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제주테크노파크 10주년 기념 백서 - 제주가치와 기술융합으로 미래를 키우다를 펴냈다.

 

2010년 창립한 제주테크노파크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제주형 강소기업 육성과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조성에 앞장서 온 제주의 대표적인 융복합 기술 선도기관이다.


 

그동안 제주의 기간산업인 관광과 1차산업 부가가치 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청정헬스푸드, 지능형관광콘텐츠, 스마트그리드, 화장품뷰티 분야를 특화하여 IT와 바이오 융합산업화에 주력했다.

 

특히 제주테크노파크는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되는 가운데 빅데이터(Big Data)와 사물인터넷(IoT)을 비롯한 정보통신기술과 다양한 제주의 가치를 융합하여 산업화 소재를 발굴하고, 제품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구개발(R&D) 거점 역할을 해왔다. 사실상 제주 중소기업의 제조기반 R&D 공유경제 플랫폼인 셈이다.

 

 

제주테크노파크가 지난 10년간 지원한 기업들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을 제외한 지원기업수는 130개에서 534개로 4.1, 지원기업 매출액은 11,341억원에서 23,428억원으로 2.07 각각 증가했다. 종사자는 7,510명에서 13,973명으로 1.86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제주테크노파크가 기업지원을 위한 동반성장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난 10년간 안정적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 결과 3,012명의 채용인원 가운데 정규직이 2,659(88.3%)으로 전국 평균 70.3%보다 높았다.

 

사업화 매출액도 꾸준히 증가했는데, 지역기업 기술혁신과 사업화 지원을 위한 스크럼 방식의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지원한 결과 사업화 매출액은 지원기업 총매출액 23,428억원 대비 31%3,330억원에 달했다. 제주기업들이 보유한 지식재산권도 1,668건으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제주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제주테크노파크의 지원역량도 한층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의 질적 평가지표인 SMART 특허 분석 결과 4.11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측정됐고, 제주테크노파크의 지식재산권수는 104건에서 559건으로 증가했다.

 

또한 생물자원 등 지역자원 개발 및 구축 건수는 3,972, 연구개발장비는 670점 구축됐고, 지원받은 제주기업 만족도 조사에서 91.9, 2020년 지역산업육성사업 전국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하는 등 제주테크노파크가 제주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핵심지원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풀이된다.

 

이번 제주테크노파크 백서에서는 스타기업 육성사업’, ‘개인 맞춤형화장품 기반기술 개발사업’, ‘데이터기반 전략산업 생태계 조성’, ‘제주생물자원 통합 DB플랫폼 구축 등 우수 프로젝트, 제주테크노파크의 단계별 지원을 받아 혁신성장을 거듭하는 제주기업들에 대한 소개, 제주형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3·3·3 프로젝트, 제주형 뉴딜 등을 비롯해 제주테크노파크의 변화와 다양한 산업추진전략들을 담고 있다.

 

태성길 제주테크노파크 원장은 지난 10년이 첨단 미래기술에 제주의 다양한 가치를 녹여 제주산업 생태계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넓히는데 도전해온 시간이었다면, 앞으로 10년은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충격에 대응하면서 사람과 자연, 기술융합을 통해 제2, 3의 성장엔진을 만들고 제주도민과 기업의 행복을 키우는 제주형 테크노폴리스 구현을 위한 시간이 되도록 힘써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테크노파크의 지난 10년과 미래 10년을 담은 백서는 e-BOOK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www.jejutp.or.kr/jtp_10WhitePaper/index.html)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