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제주도와 제주TP, 감귤박 활용 양어용 사료첨가제 개발 성공

제주도와 제주테크노파크가 감귤박을 활용한 양어용 사료첨가제 개발에 성공했다.

 

매년 처리난을 겪고 있는 감귤박의 고형연료 활용가치를 확인한 데 이어, 고품질 사료첨가제를 활용한 제주 수산물 양식자원화의 길을 한층 넓혀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태성길,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새진비앤씨(대표이사 김태헌)와 공동으로 제주지역에서 매년 50,000톤 가량 발생되고 있는 감귤박의 재활용을 위해 감귤박을 발효하여 양어용 사료첨가제 시제품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를 출원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과에서 지원하는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제주지역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인 감귤박을 활용하여 산업화 소재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어왔다.

 

그 결과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유용미생물 균주를 가지고 감귤박을 발효하여 양어용 사료첨가제 개발에 성공을 거둔 것이다.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와 새진비앤씨 연구팀은 감귤박의 발효를 위해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유용미생물 균주 가운데 사료첨가제로 많이 이용되는 누룩균과 유산균 등의 유용미생물을 사용하여 감귤박에 있는 펙틴 및 섬유소 등을 저분자올리고당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고, 이 균주들은 넙치 질병원으로 분류되는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균주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감귤박을 발효한 발효액은 발효 전에 비해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 감귤의 유효성분인 헤스페리딘(Hesperidin)6, 노빌레틴(Nobiletin)2배 정도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관련 특허도 1건 출원하였다.

 

연구팀은 감귤박 발효 양어용 사료첨가제를 함유한 사료를 실험수조를 이용하여 18(4개월)간의 실험과 이후 인위감염실험을 수행을 통해 세균인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iniae)과 그람음성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탈다균(Edwardsiella tarda) 대한 감귤박 발효 양어용 사료첨가제를 먹인 개체의 생존율이 그렇지 않은 개체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어 감귤박이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용환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장은 애물단지로 취급됐던 감귤박이 고형연료화 기술개발에 이어 양어용 사료첨가제로 뛰어난 효능이 입증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더욱 심화된 연구를 토대로 감귤박이 제주의 새로운 수입원이 될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민 생명 지킨다”제주도, 자살예방 대책 가동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살률 증가에 대응해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자살 원인을 심층 분석하는 등 도 차원의 맞춤형 예방대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9일 발표한 2024년 시·도별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제주지역 자살사망자는 232명,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3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제주도는 자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기관 간 협업회의 개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중심의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현장에서 활동하는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을 확대하고 자살위기 대응 시스템도 개선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위험군은 집중관리한다. 생명사랑 실천가게 운영과 정신응급 대응체계 강화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의 자살 급증지역 컨설팅 강화 방침에 맞춰 제주도도 지역별 자살 현황을 정기 점검하고 급증 지역은 원인을 심층 분석해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자살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