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6.9℃
  • 맑음강릉 6.9℃
  • 맑음서울 9.3℃
  • 맑음대전 8.2℃
  • 맑음대구 8.7℃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2.8℃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5.6℃
  • 맑음금산 5.4℃
  • 맑음강진군 7.8℃
  • 구름많음경주시 6.8℃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대만 환경시설 견학을 다녀와서, 한마음초 강혜주

환경 동아리, 대만 환경시설 견학을 다녀와서

 

 

한마음초등학교 6학년 강혜주

 

            


깨끗한 서귀포시 만들기, 우수 환경동아리에 우리 학교가 선정되어 해외 환경시설 견학을 가게 되었습니다. 지난 1027일부터 30일까지 대만의 환경시설을 보았습니다. 대만의 쓰레기 분리배출 시스템과 더불어 역사, 문화도 같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대만은 처음으로 가는 나라로,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제주도와 다른 새로운 풍경이어서 새삼 놀라웠습니다.

 

재활용하기 쉽게 쓰레기통 입구를 네 종류로 나눈 쓰레기통을 보았습니다. 음식물쓰레기는 냉각시켜서 처리하는 등 쓰레기를 잘 처리하려 노력한다고 하였습니다.

 

거리에서 버스정류장에 화분이 여러 개 꽂혀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담배냄새 등을 없애고 정류장을 청결하게 만들며 정류장의 외관상 모양도 더 좋게 할 수 있는, 일석이조라고 생각했습니다.

 

내호쓰레기소각장은 대북시에서 나오는 쓰레기 대부분을 태운다고 합니다. 악취로 인한 민원을 줄이기 위해 소각장 옆에 무료로 도서관, 수영장 등을 설치해 주민들이 편히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쓰레기를 소각장에서 태우니 땅에 매립하지 않아도 되는 점이 있지만 소각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 등의 연기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소각장의 장점과 단점을 쉽게 알고 대만의 쓰레기 처리방법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에코아크를 방문했는데, 이곳은 친환경 건물로 페트병으로 만들어진 건물입니다. 재활용 아이디어가 정말 좋은 것 같았습니다. 관광객들이 와서 주변 경제도 살리면서 재활용도 하고, 주민들도 근처 벤치에서 편히 쉴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생각되었습니다.

 

저는 그 동안 집 청소와 학교청소는 열심히 해보았지만 제주도 청소는 신경써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서귀포시청 환경 동아리를 해보니 쓰레기 문제는 우리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었고, 이번에 해외 견학도 가보니 지구의 모든 나라들이 쓰레기 처리문제를 신경 쓰고 있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 우리 서귀포시가 제일 앞장서고 있어서 기분이 참 좋았습니다.

 

콩나물을 키울 때 시루에 물을 주면 그 물은 다 빠져나와버려 자라는데 영향을 안 주는 듯하지만, 결국은 싱싱한 콩나물을 길러내듯 3 4일 동안 대만을 견학하면서 어느덧 크게 자라있는 나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나의 한 걸음을 지구와 우리 인류를 지키는데 쓸 수 있어서 자랑스럽습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의료용 마약류 취급업소 현장점검 강화
제주시는 올해 말까지 의료용 마약류를 취급하는 병의원과 약국 등 12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점검은 마약류관리시스템과 취급통계정보시스템을 활용해 마약류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의심되는 업소를 대상으로 집중 실시한다. 올해 10월 말 기준 제주시에는 의료기관, 약국, 마약류도매업소 등 465개의 마약류 취급업소가 있으며, 이번에는 기존의 표본 감시 방식과 달리 시스템 정보를 활용하여 점검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주요 점검 항목은 ▲마약류 취급자의 관리의무 준수, ▲마약류 저장 기준 준수, ▲사고마약류 발생 시 적정 보고 여부, ▲취급 시스템 상 재고와 실제 보유량 일치 여부 등이다. 점검 결과, 마약류관리법 위반이 확인된 업소와 취급자에 대해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시정 조치하고, 중대한 위반사항이나 시정 미이행 시에는 고발 또는 행정처분 등 강력한 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지난해 107개소의 마약류 취급업소를 지도·점검한 결과 12개 업소에서 위반사항이 적발되어 고발 5건, 과태료 2건, 경고 3건, 업무정지 8건 등 총 18건의 행정조치를 취한 바 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지역사회의 마약류 오남용 예방과 안전한 의약품 환경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