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차례상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21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김대형)가 추석을 보름정도 앞둔 지난 1일과 2일 제주시내 재래시장(동문시장)을 중심으로 제수용품 가격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추석 차례를 준비하는데 드는 비용은 4인 가족을 기준으로 지난해 20만3850원보다 약 6.5% 오른 21만6950원선이 될 것으로 밝혔다.
이는 제주상의가 올 추석 차례 상에 각종 과실(6)과 나물채소류(8), 육란류 및 수산물류(7), 가공식품류(5) 등 26개 품목을 올린다는 가정 하에 산출한 금액이다.
조사결과, 제수용품 중 일부품목(대추, 표고버섯, 돼지고기(오겹), 계란, 밀가루, 두부)의 가격이 하락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품목이 작황부진과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했다.
시금치의 경우 재래시장에서는 시가가 조성이 안될 정도로 공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올해 특히 심했던 폭염으로 인해 작황이 부진했던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른추석으로 밤과 단감은 출하량이 미미하여 작년대비 높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고(전년도 대비 각각 25.9%, 14.5%상승), 사과, 귤, 배 등의 일부품목 또한 추석이 가까워질수록 공급대비 수요가 높아 지금보다도 가격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일류중 ‘배(5개)’는 작년 1만4250원 대비 4.9%상승한 1만4950원 으로 가격대가 형성되었고, ‘귤(1kg)’ 또한, 전년도 7250원 대비 21.3%상승한 8800원선, ‘사과(5개)’의 경우 작년 12,500원 대비 15,800원 으로 26.4% 오른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
반면, 올해 대추농사는 풍작으로 작년보다 22.1%감소한 3700원대의 가격을 형성 되어, 조사한 과일류 총 6개 품목(사과, 배, 귤, 단감, 밤, 대추)은 지난해 추석명절 대비 13.8%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채소류는 폭염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시금치(400g)’는 작년대비 37.7% 오른 4200원으로 가격이 형성되어있으나, 재래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공급이 현저히 줄었다.
‘고사리(400g)의 경우 2.3% 증가한 4300원선, ’도라지(400g)‘도 12.9% 증가한 7000원선, ’애호박(1개)‘는 50%증가한 2,100원선, '무(2kg)'의 경우 28.5% 증가한 2700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파(대파(1Kg(1단)))'는 재배면적 감소로 지난해보다 40% 오른 3,500원선에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중 ‘표고버섯(150g)’은 버섯류 소비가 위축되었고, 도매시장 외에도 소비자 직거래 등 시장에 공급되는 생표고 물량이 많아 채소류중 유일하게 전년대비 13%하락한 10,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조사한 나물채소류 8개 품목은 8.7%상승한 것으로 분석이 된다.
‘소고기(국거리(500g))’의 경우 18.2% 상승한 2만425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소고기(산적, 등심(600g)++)’의 경우 3.6% 상승한 2만9600원선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돼지고기(오겹600g)’는 공급량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23.2%하락한 평균 1만3500원선에서 거래가 되고 있으며, 계란(일반란 10개)은 전년대비 14%하락한 2150원 에 판매되고 있다.
해산물류에서 ‘옥돔(1마리(국산))’은 작년대비 10.7% 증가한 평균 1만4400원선에, 작년대비 수요가 증가한 ‘동태는(500g)’는 전년도 비해 4800원 오른 9800원에 거래됐다.
조사한 육류 및 수산물은 7품목은 지난해 추석명절 대비 7.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공식품류는 '밀가루(2.5kg)' 3400원, '청주(1.8L)'는 1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두부(판두부 4모)’는 2500원, ‘약과’는 4000원, ‘송편’의 경우에는 작년과 동일한 가격대를 보여, 가공식품 5품목은 지난 추석명절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상의 관계자는 “올해 8월 계속되었던 폭염으로 출하량이 감소한 야채류와 육류 및 해산물류가 가격인상을 이끌고 있고, 일부품목(밤, 감)은 작년대비 이른 추석날짜로 인해 출하시기가 맞지 않아 구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하며, “그러나 대부분의 품목들이 지난해 추석과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 추진으로 비축물량 공급이 늘어나면서 대체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