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칼럼)송로버섯, 캐비어, 한우와 삼겹살

삼겹살이 먹고 싶다는 아이들의 주문이 부담스러워진 것도 처음이다.

 

먼저 외식을 떠올렸다.

 

저녁 6시가 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뜨거운 불볕더위에 인근 식당을 찾아 걸어야 하고 거기에 가서도 불 옆에서 고기를 굽는다는 자체가 영 싫었다.

 

이동할 때의 짜증스러움도 그렇지만 불판 앞에 앉았을 경우의 대략 난감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물론 식당인지라 에어컨은 빵빵하게 켜 있을 것으로 예상해도 고기를 굽는 불이 내뿜는 열기는 고스란히 받아야 할 만족스러운 저녁 식사에 대한 대가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구이를 할 수 있는 장비 일속을 챙기고 바닷가로 가 볼까는 생각을 했다.

 

종전에는 레포츠 공원에서의 삼겹살 가족 회식도 괜찮았지만 이젠 불가능한 호사임을 알고 있다.

 

다른 사람에게 민폐를 끼치는 탓에 금지됐고, 해수욕장 등을 찾아 불판을 피울라치면 인근 식당에서 날리는 눈총이 영 불편하다.

 

실제로 삼양해수욕장만 가더라도 방파제에서는 일체의 조리행위가 금지돼 있다.

 

가장 가능한 경우의 수는 집에서 삼겹살을 구워 먹는 일이다.

 

이마저도 집안의 경제권을 쥐고 있는 집사람의 눈치를 봐야 한다.

 

이 더위에 선풍기 바람에 의지해서 삼겹살을 굽는 일은 어지간한 인내심이 없으면 지레 포기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아이들과 함께 집사람을 설득하기 시작한다.

 

1시간만 에어컨을 켜자는 제안에 집사람은 정색하고 협상을 시작한다.

 

만약 전기세가 많이 나오면 고통분담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얼마간의 공동부담을 결정지은 집사람이 에어컨 리모컨을 들 때부터 에어컨이 윙 소리를 내며 가동할 때까지의 시간.

 

마치 세르게이 M. 에이젠슈타인 감독이 영화 전함 포텐킨에서 처음 사용했다는 롱테이크(long take) 기법을 보는 느낌이 들 정도다.

 

1905, 제정 러시아 시대. 전함 포템킨의 수병들은 장교들의 학대와 열약한 근무 조건에 불만을 가지게 된다.

 

 썩은 고기를 식량으로 사용한 사실은 그들의 반란의 기폭제로 작용하고 결국 러시아 혁명으로 번지게 된다는 내용의 이 영화에서 오데사 계단의 학살 장면은 이 기법으로 사상 처음 촬영된다.

 

주인공의 주요 장면을 천천히 오랜 시간에 걸쳐 잡아내는, 홍콩 느와르 영화에서 자주 접할 수 있었던 이 촬영 기법을 집에서 볼 수 있다니.

 

더위와 비싼 전기료, 그리고 삼겹살을 향한 욕망이 빚어 낸 착시현상이리라.

 

정말, 주님이나 부처님의 은혜보다 더 자비로움을 느끼게 하는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맛난 저녁 식사를 마치고 인터넷 기사를 검색했다.

 

새누리당 당 대표로 선출된 이정현 대표의 청와대 오찬 소식이었다.

 

사진을 보면 대통령은 겉옷을 걸쳤고 새누리당 참석자들도 넥타이는 매지 않았지만 양복 차림을 했다.

 

시원한 곳인 모양이다.

 

기사를 읽어보니 이 대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배려는 오찬 메뉴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바닷가재, 훈제연어, 캐비아 샐러드, 송로버섯, 샥스핀 찜, 한우 갈비 등 최고의 메뉴로 코스 요리를 준비하면서도 이 대표가 좋아하는 냉면을 특별히 대접했다.

 

청와대에서 외빈을 위한 식사 메뉴로는 보기 드문 냉면과 호남 음식 재료로 쓰이는 능성어 요리를 내놓은 것은 박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이 담긴 것이라는 후문이다.

 

좋겠다.

 

더위 걱정 없이 전 세계에서 이름 높은 재료를 동원하는 미식을 할 수 있다니 말이다.

 

에어컨 바람과 삼겹살에 만족해야 하는 자신이 문득 초라해 진다.

 

간만에 포식을 해서인지 아이들은 해맑게 웃고 있다.

 

어느덧 집사람은 에어컨을 끄려는지 리모컨을 찾고 있다.

 

선풍기 날개만 더위에 지친 듯 윙윙 탄식을 내뱉으며 돌아 가고 있을 뿐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연습을 실전처럼’ 제주도, 2025년 을지연습 돌입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도내 전역에서 2025년 을지연습을 실시한다. 을지연습은 전시ㆍ사변 등 국가비상사태 발생 시 국가안보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비상대비계획을 점검ㆍ보완하고, 전시 임무 수행 절차를 숙달하기 위해 연 1회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비상대비연습이다. 이번 연습은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기상황을 가정해 을지연습 전 실시하는 위기관리연습(CMX)과 전쟁 발발 이후를 상정한 국가총력전연습(을지연습)으로 나눠 진행된다. 제주도는 연습 1일차인 18일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불시 비상소집을 실시했으며, 행정조직을 전시조직으로 전환하고 전시종합상황실을 구성·운영했다. 이번 을지연습의 주요 목표는 국가총력전 수행태세 확립과 제주지역 안전보장을 위한 최상의 비상대비태세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연습은 ‘변화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조치능력 배양 및 안보의식 고취’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제주도는 비상대비태세 능력 강화를 위해 복합상황을 가정한 다양한 사건계획을 처리하는 도상연습(메시지 처리), 기관장이 주재해 현안과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전시 현안과제 토의, 인력·물자·장비 동원 등 유관기관과의 실제 합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