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도내 지하수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조인숙)에 따르면 2016년도 1차 지하수 수질모니터링 조사결과를 보면 유해성분인 휘발성 물질이나 농약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고, 기타 수질 오염 지표항목도 농업용수 수질기준이내의 양호한 수질상태를 보였다.

 

조사대상은 지하수관정 106개소(동부·서부 26개소, 남부·북부 27개소), 질산성질소 등 45개 항목에 대하여 갈수기, 풍수기 및 최고수위 시기로 구분하여 년 3회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했다.

 

1차 지하수 수질모니터링 결과는 지하수 오염지표 항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질산성질소의 경우, 전체 평균값 2.9 /L(농업용수 기준 20.0 mg/L), 중간값 1.7 mg/L로써 양호한 수질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서부, 동부, 남부 및 북부 순으로 각각 4.8 mg/L, 3.2 mg/L, 1.8 mg/L 1.5 mg/L이며, 서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3.2배 높았다.

 

해수침투 여부를 파악하는데 지표항목으로 사용되는 염소이온인 경우 전체 평균값 11.5 mg/L, 중간값 9.0 mg/L로 먹는물수질기준 인 250 mg/L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지역적으로는 동부, 서부, 북부 및 남부 순으로 각각 14.1 mg/L, 13.3 mg/L, 10.2 mg/L 7.6 mg/L로 분석됐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앞으로 지하수 보전을 위한 2, 3차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며, 질산성질소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주민들에게 적정 비료사용을 권유하는 리플릿을 제작 배부 하는 등 지하수 보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인공지능 신호체계로 중앙로·연삼로 교통혼잡 해소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연북로에서 성공한 인공지능(AI) 기반 신호체계 개선사업을 제주시 중심가 두 곳으로 확대해 도민과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높인다. 자치경찰단은 지난해 처음 도입한 제주시 연북로 구간 인공지능 신호체계개선 시범사업에서 뚜렷한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와 손잡고 2개 구간을 추가로 확대해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4년 7월부터 8월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 연북로 구간 개선사업은 통행속도 14% 증가, 통행시간 13.5% 단축, 지체시간 22.3% 감소라는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번 신호체계 개선 사업은 제주시 동서·남북 교통 중심축이자 주요 혼잡구간*으로 분류되는 ▲중앙로(제주대학교입구 ↔ 남문4가, 약 6.7km)와 ▲연삼로(신광4가 ↔ 삼양초소3가, 약 12km) 구간이 대상이다. 개선작업은 중앙로와 연삼로 일대 42개 교차로 중 28개소에 이미 구축된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요일·방향·시간대별 교통량을 정밀 분석하고, 실시간 교통흐름에 맞춰 최적화된 신호주기를 자동 산출한다. 자치경찰단은 새롭게 조정된 신호체계를 현장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