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7℃
  • 흐림강릉 29.5℃
  • 흐림서울 30.3℃
  • 흐림대전 27.3℃
  • 흐림대구 25.9℃
  • 흐림울산 22.8℃
  • 흐림광주 23.4℃
  • 흐림부산 22.9℃
  • 흐림고창 24.0℃
  • 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6.9℃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6.2℃
  • 흐림강진군 20.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0.2℃
기상청 제공

2022년 하반기 발달재활서비스사업 이용자 모집

  • No : 814000
  • 작성자 : 고은비
  • 작성일 : 2022-12-08 17:53:47
  • 분류 : 제주시

접수기간 : 2022. 12. 1.() ~ 12. 9.()

신청방법 : 주소지 읍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지원대상 :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가구의 18세 미만 장애아동 및 만6세 미만의 장애 미등록 영유아

   ※ 6세 미만의 장애 미등록 영유아의 경우, 발달재활의뢰서 및 검사자료 필요

   ※ 발달재활의뢰서의 경우, 장애유형별 전문의가 아닌 전문의가 진단한 경우는 불인정

제외대상 : 다른 법령(또는 국가 예산)에 따라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와 비슷한 급여를 받고 있는 자

  - 아동 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 우리아이 심리지원 서비스, 기타 이에 준하는 발달재활서비스

  - 장애인복지법 제32조의 2에 따라 장애등록한 외국인(재외동포 포함)

문 의 : 제주시 주민복지과(064-728-2583), 거주지 읍동 주민센터

 

번호
말머리
제목 작성자 작성일
* [제주시] 2022년 하반기 발달재활서비스사업 이용자 모집 고은비 2022/12/08
3291 [제주시] 2022년 하반기 언어발달지원사업 이용자 모집 고은비 2022/12/08
3290 [제주시] 2022년 제15회 아름다운 문화향기전 개최 고은비 2022/11/28
3289 [제주시] 제주별빛누리공원, 「레비의 천문학」 온라인 교육 과정 운영 고은비 2022/11/28
3288 [제주시] 제주시 창작뮤지컬 『부종휴와 꼬마탐험대』 개최 고은비 2022/11/28
3287 [제주시] 제 11기 제주시 SNS 시민기자단 모집 공고 고은비 2022/11/28
3286 [제주시] 2023 제주시 주민자치위원 공개모집 고은비 2022/11/28
3285 [제주시] 2023 제주시 주민자치위원 공개모집 고은비 2022/11/20
3284 [제주시] 안전문화운동 우수사례 공모 고은비 2022/11/20
3283 [제주시] 우당도서관 어린이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고은비 2022/11/20
3282 [제주시] 애향운동장 개보수공사 진행 고은비 2022/11/20
3281 [제주시] 동부보건소 체력건강증진실 운영 재개 고은비 2022/11/20
3280 [제주시] 2023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고은비 2022/11/20
3279 [제주시] 음주 폐해 예방의 달 기념 『절주 걷기 챌린지』캠페인 전개 고은비 2022/11/20
3278 [제주시] 2023 제주들불축제 프로그램 공모 고은비 2022/11/11

와이드포토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
서귀포시 동부보건소,“가가호호”찾아가는 영양상담실 운영 서귀포시 동부보건소(소장 고행선)는 영양플러스 대상자의 영양불균형을 해소하고 건강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가가호호”찾아가는 영양상담실을 월 2회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찾아가는 영양상담실’은 영양플러스 대상자 중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임산부 대상으로 영양사가 직접 가정으로 방문하여 대상자의 영양문제에 대한 맞춤 영양상담을 통해 영양행태개선 및 건강한 식생활 관리능력 향상을 위해 기획됐다. 대상자의 식생활 문제 진단에 따라 빈혈 및 고혈압‧당뇨 등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생활 관리와 칼로리 제한 식기류를 이용한 대상별 맞춤 식사계획방법, 제공되는 보충식품 활용교육 등 세부적인 개별상담이 진행되며, 올 12월까지 총 50여가구 방문할 계획이다. 영양플러스사업은 영양상태가 취약한 저소득층 임신·출산부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충식품을 제공하고, 영양교육 및 상담, 영양평가 등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영양문제를 해소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보건소 관계자는“지역 내 고령 임산부가 증가됨에 따라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영양관리서비스를 마련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양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임산부와 영유아의 균형잡힌 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