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3.9℃
  • 구름많음강릉 8.7℃
  • 흐림서울 4.7℃
  • 구름조금대전 6.4℃
  • 구름많음대구 8.3℃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조금광주 7.7℃
  • 맑음부산 9.6℃
  • 맑음고창 7.3℃
  • 황사제주 11.7℃
  • 구름조금강화 4.3℃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많음금산 6.0℃
  • 구름조금강진군 8.6℃
  • 구름많음경주시 8.8℃
  • 구름조금거제 9.0℃
기상청 제공

“겨울방학엔 제주신화월드로!” 원스톱으로 즐기는 키즈테인먼트

제주신화월드가 겨울방학 필수 코스로 뜨고 있다


신나는 워터 액티비티, 체험형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키즈테인먼트(키즈+엔터테인먼트) 시설을 이동 걱정 없이 원스톱으로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민은 물론 여행객들의 마음마저 사로잡은 겨울방학 아이와 함께 가볼 만한 곳을 살펴보자.

 

신화워터파크는 사계절 내내 어린이 고객에게 사랑받는 레저 공간이다


동절기에도 실내 구역을 운영해 일 평균 300명 이상 방문한다. 겨울철에는 평균 수온을 30~34도로 유지하고 있어 아이들이 따듯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유아들을 위한 얕은 수심의 미니풀과 워터 스프레이가 장착된 어린이 전용 키즈풀도 인기지만 초대형 비치볼 위에서 무한 점프가 가능해 중독성 강한 재미를 선사하는버블팝은 오직 신화워터파크에서만 만날 수 있는 독보적인 어트랙션이다


풀장 외에도 실내 전용슬라이드 빅컵익스트림 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짜릿한 스피드를 만끽할 수 있다


겨울방학 기간에는 로우 시즌 요금이 적용되며 신화리워드, 신한카드, 제주 도민 할인가도 마련되어 있다.

 

서머셋 클럽하우스에 위치한 ‘원더아일랜드’는 자녀 동반 가족을 위한 미디어파크다. 성인 중심이었던 기존 미디어 전시에서 벗어나 체험적 요소를 강화해 뛰어놀며 교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매력을 더했다


제주의 자연, 동식물, 신화 등 다채로운 이야기가 엮인 10가지 테마를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로 풀어내 몰입도를 배로 높이고 증강현실 요소를 더해 능동적인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




원더아일랜드에서는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한 동물도감 체험뿐만 아니라 두더지 게임과 쿠킹 클래스, 디지털 십이지신 가면 놀이 등이 가능한 실감형 놀이터도 구성돼 있어 새로운 시각으로 미디어 전시를 경험할 수 있다


신화리워드 멤버의 경우 20% 할인 혜택도 제공되니 무료 회원가입 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겨울방학하면 영화도 빼놓을 수 없다


메리어트관 G층에 위치한 ‘JSW 씨네라운지는 한 관당 18석 규모의 프라이빗 영화관이다. 전 좌석 리클라이너 의자가 구비되어 있어 장시간 착석이 힘든 어린아이들도 편안하고 안락하게 영화를 관람하기 좋다


애니메이션과 같은 어린이 영화의 경우 관람객 연령에 상관없이 할인이 적용된다


영화 티켓과 팝콘, 음료 구성의 전용 상품 키즈 영화 패키지가 따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


주중 전용 요금제도 운용하고 있어 평일에는 2천원 할인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현재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위시가 절찬리에 상영 중이다.

 

자녀들을 돌보느라 고생한 엄마들을 위한 뷰티 & 웰니스 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쇼핑 스트리트에 위치한 벨르몬 클리닉과 모실 클럽하우스에 위치한 피히츠 스파는 전문가들의 섬세한 손길로 피로회복은 물론 안티 스트레스, 미용까지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멀티 케어 샵이다. 이번 방학엔 아이도 엄마도 행복한 제주신화월드로 새해 첫 여행을 떠나보자.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 안전감찰 전담기구 정기회의 개최…안전 강화 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가 재난관리책임기관들과 함께 올해 안전감찰 성과를 점검하고, 기후변화와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내년도 안전관리 방향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26일 오후 2시 제1청사 환경마루에서 ‘2025년 안전감찰 전담기구 협의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시,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관별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재난관리체계, 기후위기 대응 기반시설 및 공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 등이 제시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공공건축물 공사장, 사회복지시설, 호우·대설 재난 대응체계 점검 등 2026년 안전감찰 추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각 기관은 감찰·감사·점검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현장적 요소를 공유했다. 또한 실제 안전감찰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선 방안을 협의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