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8.3℃
  • 맑음강릉 10.8℃
  • 맑음서울 9.4℃
  • 맑음대전 9.7℃
  • 맑음대구 12.4℃
  • 맑음울산 12.1℃
  • 맑음광주 12.7℃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16.0℃
  • 맑음강화 9.4℃
  • 구름많음보은 10.0℃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12.2℃
  • 구름조금거제 11.4℃
기상청 제공

제주시 건축허가 지난해 대비 증가

부동산 경기가 침체국면인 반면 제주시 건축허가 규모는 증가했다.

 

제주시는 올해 10월 기준 건축허가 면적은 1621068(3143) 지난해 같은 기간 1143467(3138)보다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0월 기준 용도별 허가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854585(1,488)로 전년 같은 기간 481,978(1,334)보다 77% 증가했고, 비주거용은 766,483(1,655)로 지난해 같은 기간 661,488(1,804)보다 16%가 증가했다.

 

주거용의 경우 이도주공 2·3단지 아파트 등 4곳의 재건축으로 인하여 허가 면적이 대폭 늘어났으며 비주거용의 경우 물류창고 및 공업용시설 등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실제 착공면적은 올해 10월 기준 929,586(2,024)로 지난해 같은 기간 923,724(2,183)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인한 건축단가 상승 및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등 대출규제 여파로, 내년 부동산 시장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보여 실 착공 건수는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시 관계자는건축허가 수요에 맞춰 신속한 인허가 민원처리를 통해 주민편익 증진에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