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자치경찰 싸이카, ‘생명의 길’열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고창경)소방안전본부와 협업을 통한 경찰 싸이카 에스코트를 활용한 합동 긴급수송으로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확보해 소중한 생명을 살렸다.


지난 819일 오후 517분경 구좌읍 행원리에서 익수사고로 심정지 상태인 중증 응급환자 1명이 발생했다.




소방안전본부는 신속한 심폐소생술 등 현장 응급조치를 하면서 자치경찰단과 TBN교통방송국에 이동구간 등 긴급 수송상황을 전파했다.


TBN제주교통방송은 실시간 이송상황을 방송으로 알려 긴급자동차 길 터주기에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어냈다.


자치경찰단은 싸이카 3순찰차 2대로 편성된 긴급수송 기동반을 현장에 급파해 병원까지 119 긴급자동차의 신속한 에스코트를 지원했다.


당시 심정지 상태였던 중증 응급환자는 현재 건강을 회복하고 있다.


특히, 19일 응급환자 긴급수송이 이뤄진 시간은 오후 6시 전후 퇴근길 러시아워로 시내권에 진입하면서 극심한 교통정체가 나타나는 상황이었다.


연삼로 삼화지구 방면 통과 시 대기차량들로 인해 응급차량 진행이 어려워 싸이카가 중앙선을 가로질러 교차로에 진입해 차량통행을 통제하고, 긴급차량 동선을 확보한 뒤 구급차량을 우선 진행시켰다.


또한, 연삼로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구간에서는 대기차량 사이로 차량 이동공간을 확보해 신속하게 수송하는 등 신촌 진드르 교차로에서 한라병원까지 27 교차로를 싸이카가 선 진입해 일시 통제하며 안전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최근접 교통순찰차까지 주요 차로(연삼로 보건소 4, 마리나 4)에 추가 배치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수송에 만전을 기했다.


이번 싸이카 에스코트는 지난 816일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자치경찰-소방 응급환자 에스코트 지원 협업 시행 이후 3차례 이뤄졌다.

고창경 자치경찰단장은 소방안전본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중증 응급환자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차량 정체가 심한 시간과 구간에 교통경찰을 선 배치하고 싸이카 에스코트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 올해 말까지 시범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시범운영 기간 중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안을 마련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관련 기관 협업을 바탕으로 도내 중증 응급환자 특별 수송대책을 확대 추진하는 등 도민의 생명을 지켜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관내 전 개소 공중화장실 범죄예방 특별점검
서귀포시는 최근 도내 모 카폐 화장실에서 발생한 불법촬영 범죄사건을 계기로 관내 공중화실 403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범죄예방을 위한 공중화장실 긴급 특별점검 및 후속조치를 지난 8월 8일까지 모두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긴급 특별점검은 사건이 언론에 알려진 7월 16일 이후, 7월 18일부터 7월 25일까지 신속히 진행됐으며 불법촬영기기 설치 여부를 탐지하기 위해서 전파탐지기와 렌즈탐지기를 활용하여 은닉 가능성이 높은 환풍구, 쓰레기통, 화장실 칸 하부 등을 집중 점검하고 비상벨 정상 작동 여부 및 화장실 칸막이문 잠금장치를 비롯한 시설물 파손 여부 등 안전 전반에 대해 꼼꼼이 확인하였다. 점검결과, 불법촬영기기는 단 한건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이렌이 울리지 않거나 경관등이 작동하지 않는 등 작동 이상이 확인된 비상벨에 대해서는 비상벨 리스 및 관리업체에 고장내역을 통보하였으며, 칸막이 등 보수나 개선이 필요한 시설물은 전문업체를 선정하고 수리를 요청하여 후속 조치를 완료했다. 진은숙 서귀포시 기후환경과장은 “앞으로도 정기적인 불법촬영 탐지와 비상벨을 비롯한 범죄 예방시설물 점검, 화장실 편의환경 개선 등 공중화장실 관리를 강화하여 서귀포시를 방문한 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