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제주TP 이종철 선임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장상 수상

아열대 생물자원 산업화 연구개발 거점기관 역할을 맡고 있는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가 생명자원 연구와 정보공유 노력을 인정받았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태성길, 제주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이종철 생물자원연구팀 선임연구원이 어제 국립중앙과학관 주최로 열린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총회에서 국립중앙과학관장 표창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종철 선임연구원은 지난 2012년부터 제주지역 생명자원에 대한 체계적인의 정보공유를 위해 관련 연구진과 함께 자원발굴과 제주생물종 DB플랫폼을 구축하여 제주 생물자원에 대한 생태, 표본, 유전자, 전통지식 등 생물정보를 통합관리하는 발판을 마련해왔다.

 

제주생물종 DB플랫폼에는 제주지역에서 서식 및 분포가 보고된 생물 중 육상식물(관속식물 2,222), 척추동물(1,146), 해조류(702), 곤충(3,705), 버섯(726), 미생물(1,002) 등 총 9,503종에 대한 정보가 정리되어 있으며, 또한 생물종다양성연구소가 확보한 제주생물자원의 표본(2,46113,395), 전통지식(100), 유전자(115), 추출물(1,546), 식물세포주(26), 특허(115), 논문(158) 등의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국가생명자원의 정보공유체계 구축과 활용에 대한 높은 기여를 인정하여 이종철 선임연구원에게 국립중앙과학관장상을 수여했다.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를 통한 국제적 정보공유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생물다양성 자원의 전략적 관리 및 주권 확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07년 출범했다. 여기에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을 비롯한 국공립기관 및 자연사박물관 등 전국 60개 회원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제주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대응 기반 구축을 위해 제주지역 생물종에 대한 정보데이터베이스(DB)를 체계적으로 구축, 관리하는 가운데 제주생물종목록집(관속식물편, 해조류편, 척추동물편)과 제주 해양본초자료집 등의 자료집을 발간해 제주지역 생물종 다양성의 보존과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반 확대를 위해 힘쓰고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탐라문화광장 현장회의로 생활안전 대책 집중 점검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탐라문화광장 부근 산지천갤러리에서 ‘생활안전 환경개선 전담팀(TF)’ 제4차 현장회의를 개최하고, 여름철 음주·노숙 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회의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관광객 증가와 야간시간대 음주·소란행위 및 노숙 민원으로 제주시 원도심의 관광 이미지 손상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폭염으로 인한 위험과 쓰레기·악취 문제 등 실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회의에는 제주도 및 제주시 유관부서와 자치경찰단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지역주민들이 느끼는 현장 상황과 함께 노숙인 자활활동을 추진하는 사회복지법인 센터장의 의견도 청취했다. 올 상반기 상습 주취행위자 면담결과와 자치경찰단 주취자 해산조치 분석 등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부서간 협업과제와 향후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새로 추진할 과제로는 △야간 주취로 인한 악취문제로 오전시간대 고압 정밀 세척 △야간 관광객을 위한 야간시간대 환경정비활동 △시민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제주시 보안관 자율방범 순찰활동에 대한 의견이 공유됐다. 기존 과제 중 강화해야 할 부분으로는 △신규 주취자 유입에 따른 합동단속체계 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