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15.5℃
  • 맑음서울 19.9℃
  • 맑음대전 19.9℃
  • 구름조금대구 19.0℃
  • 구름조금울산 17.8℃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6℃
  • 맑음고창 19.7℃
  • 구름많음제주 21.7℃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8.4℃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21.2℃
  • 구름많음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3℃
기상청 제공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마을문화공간 네트워킹’

서귀포시 문화도시조성사업의 하나인마을문화공간네트워킹에 참여하고 있는 소규모 문화예술 공간 및 마을 공간에서 지난 9월부터 3개월 동안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시민들과 함께하였다.

마을문화공간네트워킹사업은 마을 문화 공간 모집을 시작으로 네트워킹 워크숍, 전문가 컨설팅을 거쳐 최종 29개 공간이 참여하게 되었으며, 유형별, 지역별 등 공간 특성에 따라 6개 그룹(문화도시 책방데이, 프로젝트 하멘, 서귀포빚음, 남원북접북적, 왓에버, 일상이 문화마을)으로 구성하여 공간 특성에 맞는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었다.



서귀포의 동네 책방 9개가 모여 구성된 문화도시 책방데이에서는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각각의 책방에서 작가 초청 북토크, 소규모 콘서트, 그림책 벽화 그리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프로젝트 하멘에서는 전시하맨, 공부하맨, 점빵하맨을 주제로 순회 전시회 및 강연회, 지역주민 나눔장터 등을 진행하였다.

하례2리 마을회관, 신흥1리 마을회관, 남원LH작은도서관 등 남원의 3개 마을공간이 모남원북접북접에서는 마을 소식지 제작 및 아트카드닝 제작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우리는 누구나 창작자이다를 주제로 구성된왓에버에서는 민화그리기, 식물드로잉, 자개모빌 만들기 등 다양한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대정읍 하모리에 위치한 문화공간으로 구성된 일상이 문화마을에서는 그림책 강의, 인문학 강의, 43 역사 문화탐방 등 공간과 지역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꾸몄다.

5개 문화공간이 모여 만든 서귀포 빚음에서는 각 공간의 전문성을 살려 뮤지컬 공연, 감귤밭 콘서트, 도자기 체험, 합동 전시회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 관계자는 각각의 문화공간에서 진행한 다양한 소규모 문화 프로그램이 코로나 시대 시민들의 문화 처방전으로서의 역할을 했기를 바라며, 시민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협업을 강화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은 그룹별 SNS(‘일상이 문화마을인스타그램 @lisang_munhwa, ‘프로젝트 하멘인스타그램 @project_hamen, ‘서귀포빚음페이스북 페이지 www.facebook.com/서귀포빚음-107158484549297)로 확인이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064.767.9506)로 문의하면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