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맑음동두천 9.8℃
  • 흐림강릉 14.5℃
  • 맑음서울 13.1℃
  • 맑음대전 13.8℃
  • 맑음대구 10.7℃
  • 맑음울산 15.1℃
  • 박무광주 13.2℃
  • 구름조금부산 15.8℃
  • 맑음고창 11.4℃
  • 맑음제주 17.3℃
  • 맑음강화 10.8℃
  • 맑음보은 8.7℃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7.8℃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서귀포시문화도시, 사라져가는 유무형의 노지문화자원 찾아나서

과거세대에게 물려받은 문화원형, 미래세대에게 물려준다.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센터장 이광준)는 서귀포시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사라져가는 105개 마을의 유·무형 마을문화유산 및 자연환경자산의 문화원형보존과 미래세대에게 전해줄 소중한 미래문화자산을 발굴 및 기록하기 위한 시민참가자(00)1023() ~ 116()까지 15일간 공개모집 한다.



미래문화자산발굴단은 지역향토연구가 등의 전문가그룹과 미래문화자산 발굴에 주체적 참여의지를 가진 시민참가그룹이 합쳐져 약 20명 단위로 팀을 구성하게 된다. 시민참가그룹은 전문가그룹과 함께 105 마을내 미래문화자산을 찾아 나서게 되며 발굴 및 현장답사, 기록화 작업을 함께 하게 된다.


올해는 코로나19인한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 1개 권역 내 일부 마을로 시범적으로 운영되지만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3개 권역 105개 마을로 점차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미래문화자산제주특별자치도(행정시 포함) 등록문화재로 등재되지 않은 미래세대에 전달할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자산을 포함한다. 자연, 인문, 역사, 생활, 생태, 문화, 예술, 건축, 인물, 신화, 장소 뿐만 아니라 오래된 물품, 가게, , 건물, 기술 등 자연 속 일상의 문화를 살아왔던 서귀포의 노지문화를 이루는 것을 총망라한다.


발굴된 미래문화자산은 체계적인 목록화 및 향후 미래문화자산선정을 위해 단계별로 추진한다.

 

모집대상은 미래문화자산발굴에 주체적 참여의지를 가진 서귀포시민 00(주소지 기준)으로 신청방법은 서귀포시청 홈페이지 및 문화도시서귀포 블로그를 통해 양식 작성후 이메일(red7829@gmail.com)접수 및 방문접수 하면 된다.


선정된 시민참가자는 오리엔테이션을 거쳐 약 1~2개월 동안 활동을 하게 되며 수료와 동시에 미래문화자산발굴단 발대식 후 2021년에도 지속적으로 미래문화자산발굴단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활동지원을 하게 된다.

 

한편,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는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 뒤늦게 시작하게 되어 아쉽지만, 시민들이 마을 속 유무형의 문화자산을 직접 발굴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거쳐 미래문화자산 인증을 위한 노력이야말로 서귀포시가 진정한 문화도시를 위한 문화시민으로 거듭나는 중요한 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064.767.9505)로 문의하면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