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칼럼)바람은 제주사람에겐 그저 일상

강한 9호 태풍 마이삭이 제주를 지났다.

 

거센 바람과 폭우, 태풍이 불면 으레 만날 수 있는 자연의 모습.

 

태풍이 불라치면 다른 지방에 사는 지인이 걱정하는 전화를 하곤 한다.

 

그럴 때 마다 괜찮아, 제주 사람에게 바람은 일상이야라고 대답한다.


바람이 만들어 낸 제주바다의 하얀 파도

 

제주 사람은 항상 바람을 이고 살았다.

 

제주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태어날 때 바람이 불었을 테고, 그가 척박한 제주 땅과 이별을 고할 때도 바람은 그의 마지막 길을 같이 했다.

 

이재수가 고향 땅을 떠나 섬을 빙 돌아 비분강개한 심정으로 제주성을 향할 때도 제주의 바람은 흙먼지를 일으켰다.

 

194731, 관덕정 광장에서 말발굽에 밟히고 경찰들의 무차별 사격으로 인해 그 광장에 선혈이 낭자할 때에도 미처 봄을 맞이하지 못한 겨울 찬바람이 제주사람들의 옷깃을 여미게 했을 터이다.

 

이듬해 43일 온 섬 봉우리마다 횃불이 오를 때도 바람은 염원을 담은 불길을 지고 도 전역을 오르내렸다.

 

피의 광풍이 제주 섬에 몰아치며 친척과 이웃이 무도한 국가 폭력 앞에 스러질 때도 바람은 도민들의 신음을 실어 한라산 주변을 맴돌았다.

 

가장 셌다는 1959년 사라호 태풍이 제주에 들 무렵, 사람들은 추석 준비가 한창이었다.

 

방에 들어차는 물을 피해 제물을 높은 곳에 올려놓고 몸만 피했다 다시 와보니 제물들이 무사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는 한 어르신의 회고.

 

아직 꼬리를 남긴 태풍 바람이 불어오는 속에 차례를 지낸 적도 있다고 웃었다.

 

이에 9호 태풍 마이삭은 기록으로 남았지만 10호 태풍 하이센이 에너지를 쌓아가며 북상 중이다.

 

일본 열도를 향할지, 아니면 대한해협의 틈을 비집고 한반도로 방향을 잡을 지는 미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 경우든 제주에는 바람이 불어 올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바람소리를 듣는 제주사람들은 마이삭에 이은 하이센의 바람에도 아랑곳없이 삶을 꾸려 나갈 것이다.

 

바람을 운명처럼 받고, 바람에 피하지 않고 맞서며, 그 바람이 비껴가도록 할 수 있는 능력을 제주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다.

 

바람이 불면 부는 대로,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태풍의 길목에 사는 제주사람들은 쫄지 않고살아가고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시, 민·관 합동 성매매 근절 캠페인 전개
제주시는 지난 20일 저녁 8시 산지천 일대에서 야간 성매매 근절을 위한 민·관 합동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성매매 피해자 지원시설인 제주현장센터 ‘해냄’(센터장 한현진), 여성긴급전화1366제주센터(센터장 전순덕), 건입동청소년지도협의회(회장 이정선), 일도1동 청소년지도협의회(회장 차재엽), 동부경찰서 및 공무원 등 30여 명이 동참했다. 참여자들은 산지천 일대의 숙박업소를 직접 방문해 성매매 알선과 호객 행위에 대한 계도와 단속 활동을 병행하며 집중 캠페인을 펼쳤다. 캠페인에서는 성매매 알선 및 장소 제공, 성구매자 모집행위자에게 최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는 형사처벌 내용을 고지했다. 또한, 시민들에게는 성매매 호객행위를 발견하거나 피해를 입은 경우 인근 경찰서 또는 제주현장상담센터 ‘해냄’ 등으로 신고해 줄 것을 적극 당부했다. 제주시는 올해 연말까지 매월 1회 정기적인 성매매 예방 캠페인을 실시해 성매매 근절에 대한 지역사회의 경각심을 높이고, 산지천 일대 불법 호객 행위 단속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방침이다. 안진숙 여성가족과장은 “다양화된 여성폭력에 대응하려면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