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칼럼)삼성노조허용, 그동안 우린 뭐였나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선물 받듯'

수년 전 삼성을 다니던 조카가 돌연 그만뒀다.

 

고향 제주를 떠나 회사가 있던 경기도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터라 갑작스런 조카의 백수행()’은 주변 친인척들에게 걱정을 안겼다.

 

명절날 집에 들른 조카에게 , 남들은 못 들어가서 난리치는 그 좋은 직장 그만 뒀냐고 물었다.

 

조카는 삼성이라는 회사가 봉급도 상대적으로 좋고 복지도 훌륭한 건 사실이지만 자기 시간이 없어요라고 답했다.

 

아침 일찍 출근하면 밤 늦어야 퇴근 할 수 있고, .일 휴일에도 집에서 쉰다는 것은 꿈도 꾸기 힘들다는 것이다.

 

.퇴근이 정확한 외국인 회사를 목표로 공부하던 그는 회계사 시험에 합격, 전문직으로 이직했다.

 

공부를 잘했던 조카이기에 가능했지, 만약 나였다면 언감생심, 삼성이라는 직장에서 죽으라면 죽는 시늉하며 정년까지 버티려고 필사적으로 마치 물 위의 오리처럼 다리를 허우적 거렸을 것이다.

 

삼성전자서비스가 80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서, 노조활동을 보장한다고 밝혔다.

 

모든 언론은 ‘80년 삼성 무노조 경영 막 내렸다고 거의 1면 톱으로 기사를 처리했다.

 

반가운 소식이다.

 

그런데 한구석은 찜찜해 온다.

 

분명 헌법에는 노동 3권을 보장하고 있다.

 

노조를 만들 수 있는 단결권, 회사와 대화를 하는 단체교섭권, 대화가 어긋나면 실력으로 행사하는 단체행동권이 그것이다.

 

물론 삼성은 보수와 복지를 다른 회사가 흉내 내지 못할 만큼 줘서 노동조합이 불필요한 회사를 만들어 왔다고 강변해 왔다.

 

과연, 그런가?

 

내 눈에 흙이 들어오기까지 노조를 허용할 수 없다는 선대(先代)의 유훈에 따라 삼성이 노조를 적대시했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회자됐다.

 

이번 검찰이 노조활동 방해 문건 등을 압수수색 하면서 발견하기 직전까지도 삼성은 이러한 기조를 이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 3권에 정면으로 맞서 온 삼성이 법적 처리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80년이 지나 노조활동허용이라는 유화책을 들고 나섰다.

 

지금이라도 노조가 허용돼 다행이라는 우리의 시각이 한심스럽다.

 

80년 동안 과연 삼성 앞에서 국가와 헌법은 무엇이었던가.

 

반헌법 행위를 처벌해야 하거나 견제해야 하는 국가권력, 검찰, 법원, 경찰, 노동관계기관, 언론 등은 그동안 어디 있었나.

 

삼성의 경영방침은 헌법 위에 존재하는 절대 지존의 지침과 같은 것이었나.


삼성의 노조허용을 '선물 받듯'하는 우리들.


권리를 겨우 돌려받으면서도 마치 감격한 것처럼 호들갑떠는 우리들.

 

모두가 곰곰이 돌아봐야 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광서리 부회장 침착한 판단과 행동으로 위급상황 시민 구조
서귀포시 안덕면에 거주하는 이경봉 씨는 지난 27일(월) 22시경 인근 식당이 장기간 문을 열지 않는 것을 보고 수상히 여겨 업주에게 직접 연락을 취했다. 통화 과정에서 평소와 달리 어눌한 말투와 의식 저하로 보이는 이상한 반응을 느낀 이 씨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응급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해 곧바로 119에 신고했다. 신고를 접수한 서귀포소방서 안덕119센터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해 업주의 상태를 확인, 신속히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 조치가 지체됐다면 중대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이 씨의 침착한 판단과 빠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이경봉 씨는 서광서리 마을 부회장으로서, 평소에도 지역 내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을 자주 살피며 마을의 수호자로 통하며, 주민들은 “언제나 이웃의 일에 먼저 나서는 든든한 분”이라며 깊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이번 사례는 일상 속 관심과 행동이 생명을 지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민 안전 실천 사례로 평가된다. 안덕면 일대에서는 “이웃 간의 따뜻한 눈길 하나가 안전망의 시작”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안덕면 관계자는 “이경봉 부회장의 침착하고 적극적인 신고 덕분에 귀중한 생명을 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