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아버지와 아들 셋이 오순도순 살다가 아버지가 병으로 죽음을 앞두고 유언을 남겼다. “우리집에 있는 재산은 소 뿐이다. 그러므로 내가 죽으면 너희들은 소 열일곱 마리를 첫째는 2분의 1, 둘째는 그 나머지의 3분의 2를, 셋째는 그 나머지의 3분의 2를 가져라”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 세 자식은 아무리 머리를 맞대고 계산해도 유언을 지키는 답이 나오지 않아 랍비를 찾아가자 랍비는 “내가 가진 소 한 마리를 빌려 줄 테니 이것을 가지고 나눠 보시오” 소 열일곱 마리에 빌린 소 한 마리를 합치니 열여덟 마리가 되자 큰 아들 9홉 마리, 둘째 여섯 마리, 셋째 두 마리를 갖자 한 마리가 남았다. 한 마리 남은 것을 랍비에게 돌려주니 해결이 됐다는 얘기가 있다.이와 같이 우리는 가끔 주어진 조건 외에서 해결책을 찾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경우가 있다. 서귀포시 세무공무원들이 체납액 징수를 하면서 주어진 조건 외에 유연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큰 성과를 얻은 것이 랍비의 지혜에서 본 사례가 아닌가 한다. 경제난으로 체납액 징수에 어려움을 예상한 세무부서 직원들이 자금사정이 어려운 기업체에 대해서는 올해 분 세금을 유예해 주고 체납액은 완납시켰으며, 재산세 규정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세외수입의 종류는 이자수입, 사용료, 경제활동에 의한 사업장수입, 그리고 질서위반 행위에 의한 과태료 등 다양하다. 세외수입은 자주재원으로 공공자금 이자수입 및 사업장 수입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반대급부적인 대가성에 의해 부과되어 당연히 납부하여야 하는데도 이를 체납하고 납부하지 않은 금액이 도 전체적으로 무려 159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자동차 주차위반, 농수산물 유통위반 등 과태료 및 과징금 체납액이 80%가 넘고 있다. 반칙을 하고 이에 상응한 제재로 과태료를 부과했는데 이마저도 내지 않은 것은 무슨 배짱인지 모르지만, 어쨌든 소중한 자주재원인 세외수입을 체납하는 사례는 반드시 사라져야 하겠다. 따라서 세외수입을 체납하면 가산금, 재산압류 등 본인의 불이익 외에도 징수비용까지 추가적 손해를 준다는 점을 생각하고 자진납부 풍토가 조성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이참에 도민부담 없이 세외수입 확충을 위한 노력과 성과에 대해 한 가지 밝히고자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주재원을 비롯한 지방교부세 및 보조금 등 모든 공공자금을 금고로 지정된 금융기관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다. 금고에서 관리되는 자금을 재테크하는 방법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여온내 여온내의 행정명칭은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2리이며, 위치는 제주시에서 남조로(남원~조천)를 따라 남원읍 지역에 들어서면 동쪽 끝자락에 표선면과 인접해 있다.웃큰집과 알큰집에서 시작된 여온내에 300년전에 심은 ‘돔박낭’(동백나무)이 갖은 풍상을 겪어 오면서도 지탱하듯이 이 마을은 비록 부촌은 아니지만 여느 농촌과는 달리 많은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지 않고 감귤농사와 축산업 등을 하며 살고 있는 곳으로, 이웃에 좋은 일이 있을 때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나 서로서로 도우며 정겹게 지내는 마을이다.이 마을이 설촌 300주년을 맞으면서 ‘돔박낭’을 테마로 한 아름답고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이 600여 주민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추진되고 있다.지난 연말 청년회원 몇 명이 모여 시작한 이 사업은 올해 초부터 도 전역에서 전개되는 ‘뉴제주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특별자치도 마을 만들기」 사업과 때를 같이하여 탄력을 받기 시작하였다.언론사를 비롯한 관련단체 들이 관심 속에 마을총회에서는 동백과 감귤이 어우러진 동백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동백고장 보존연구회’가 정식 의결되어 발족되었다.설촌 300년을 기념하고 300년 후의 여온내의 발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