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세계 희귀조 '흰부리아비' 제주서 관찰

여름철 제주에서 관찰돼 주목, 국내 관찰기록은 두 번뿐

 
세계적으로 관찰하기 힘든 겨울철새 흰부리아비가 여름철 제주에서 관찰돼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6일 구좌읍 하도리 해안에서 국내에서는 희귀종으로 분류되는 흰부리아비 1마리가 발견됐다.

흰부리아비는 월동범위가 넓지 않고, 다른 아비류에 비해 개체수가 적으며, 무리를 짓는 습성이 아니어서 관찰하기가 힘들어 희귀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14년과 1975년에 2회 강원도에서 채집한 기록이 있으며 지난 3월9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생태사진가 심규식씨가 1마리를 관찰한 기록과 지난 2004년도 1월27일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해안에 1개체가 날아와 한 달간 머물다 간 기록이 있을 뿐 국내에서는 관찰된 기록이 거의 없는 희귀조다.

이렇듯 흰부리아비는 겨울철에 동해안에서 드물게 관찰될 뿐이며, 제주에서 발견되는 것은 이례적인 것이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흰부리아비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여름철에 날아왔다는 것이다.

흰부리아비는 여름이면 시베리아나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등지에서 번식을 하고 겨울에는 일본 북해도(호카이도) 연안까지 내려와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이 새를 관찰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김완병 연구사는 "이번에 발견된 흰부리아비는 기름때가 묻거나 건강에 이상이 없어 보인다"면서도 "날갯짓을 할 때 자세히 관찰해본 결과 양 날개 깃털이 많이 빠져 건강하지 못한 것이 발견되고 있어 날개 이상으로 인한 방황 및 방향감각 상실 등으로 제주도까지 내려온 것 같다"고 분석하고 있다.

 
흰부리아비는 몸길이는 69∼81cm 정도이며, 암수의 여름깃은 머리와 목이 검정색이며 짙은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이 난다.

또 목 앞쪽에는 세로로 흰색 가로띠가 2줄 나 있으며, 어깨깃과 등쪽은 검정색, 깃털 끝에 흰색 얼룩무늬가 2∼3개, 가슴과 배는 흰색, 옆구리는 검정색 바탕에 흰색 얼룩무늬, 날개덮깃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 얼룩무늬가 있다.

부리는 노란빛을 띠는 흰색이고 부리가 시작되는 곳은 검정색이며, 다리는 검정색에 발가락은 청회색, 물갈퀴는 어두운 갈색으로 겨울깃은 등쪽이 검정색이고 깃털 가장자리는 회색이다.

흰부리아비는 바닷가에서 가까운 못이나 호수의 풀밭에 둥지를 틀고 6∼7월에 2개의 알을 낳아 암수 함께 약 28일 동안 품으며, 새끼는 온몸이 갈색 솜털로 덮여 있고 가슴과 배는 연한 회백색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단, 주민과 손잡고 아이들 통학길 안전 지킨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은 새 학기를 맞아 주민봉사대와 함께 초등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 캠페인과 노후 시설물 안전 점검을 합동으로 추진한다. 올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4건(5월 기준) 발생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며, 자치경찰단은 어린이 사고를 한 건이라도 줄이기 위해 홍보 활동과 시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37개교에 약 5억 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옐로카펫, 노란색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개선으로 시인성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주민자치경찰대와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합동 캠페인을 전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올바른 보행 지도, 불법 주정차 금지, 시속 30km 준수 등 어린이 우선 보호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캠페인은 지난 1일 송당초·애월초를 시작으로 10일 함덕초 선인분교, 16일 선흘초, 19일 대흘초에서 순차적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교통지도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학교 주변 신호등,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가로등, 펜스, 비상벨 등 노후 시설물 점검도 병행해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개선을 요청하고, 안전신문고 앱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