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0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운전석 없는 관광형 자율주행버스

핸들․페달 없는 자율주행버스 ‘일출봉 GO!’

제주특별자치도가 핸들과 페달이 없이 이동해 레벨4(Lv4) 수준을 체감할 수 있는 관광형 자율주행버스 일출봉 GO!’를 운행한다.



 

운전석 없이 안전관리자와 승객만 탑승하는 자율주행 차량이 주요 관광지를 운행하는 것으로 제주도가 자율주행 기술 대중화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제주도는 19일 오전 성산읍 광치기해변 공영주차장에서 관광형 자율주행버스 일출봉 GO’ 시승식을 개최했다.

 

일출봉 GO’22일부터 1219일까지 섭지코지, 신양해수욕장, 광치기해변, 성산일출봉(성산수협 앞)을 잇는 왕복 9.3구간에서 시범 운행된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루 6회 운행하며, 승객은 안전관리자를 제외하고 8명까지 탑승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롯데이노베이트가 운행을 담당한다.

 

일출봉 GO!’의 최고속도는 시속 40이며, 안전한 운행을 위해 좌석제로만 운영된다.

 

이날 시승식에는 오영훈 지사, 이원종 제주도 홍보대사, 현기종 제주도의회 의원, 정인태 롯데이노베이트 본부장, 전영기 휘닉스중앙제주 대표, 고승철 제주관광공사 사장, 강성은 이장협의회장을 비롯해 성산읍 지역주민과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오영훈 지사는 “2020년부터 시작된 제주의 자율주행차 사업이 관광형 자율주행버스 일출봉 GO!’의 시범 운행으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서비스로 발전했다자율주행버스가 성산지역 관광을 재도약시키는 새로운 명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홍보대사 이원종 씨는 자율주행버스는 제주의 천혜의 자연을 보존하면서도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사업이라며 시범사업이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홍보대사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승 체험 행사에는 성산읍 지역주민들과 행사 관계자들이 참여해 자율주행 버스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직접 확인했다.

 

시승체험은 행사장인 광치기해변 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해 성산일출봉과 성산파출소를 지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코스로 총 4회에 걸쳐 운영됐다.

 

이번 시범운행은 기존 제주공항과 제주시, 서귀포를 잇는 여객 중심의 탐라자율차에 더해 관광형 노선버스로 확장한 것이다.

 

특히 도민과 관광객들이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기술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일출봉 GO!’는 교통이 혼잡하고 신호체계가 복잡한 관광지에서 렌터카 이용을 줄이고 교통사고율을 낮추는 효과도 기대된다.

 

일출봉 GO!’ 탑승 신청은 모바일 큐알(QR)코드 스캔이나 웹사이트(http://m.site.naver.com/1OV66) 접속을 통해 가능하며, 원하는 날짜와 시간대에 지정 정류장에서 승·하차를 무료로 예약할 수 있다. 현장에서는 빈 좌석에 바로 탑승도 가능하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실시
제주보건소는 지난 18일 보건교육실에서 ‘2025년 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해 인명 살상이나 질병 유발을 목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는 테러 행위를 말한다. 현재 법정 생물테러감염병은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두창, 야토병 총 8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 훈련은 생물테러(의심)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과 초동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에는 도내 6개 보건소를 비롯해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숙지하는 이론교육과 함께 ▲생물테러 대응절차 실습, ▲개인보호복(Level A·C) 착·탈의, ▲다중탐지키트 사용 및 검체 이송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특히, 제주보건소는 ‘생물테러 현장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훈련을 진행했으며, 기관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실제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이번 훈련은 초동대응요원의 현장 대응력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