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

이재명 49.42%, 김문수 41.15%, 이준석 8.34%

21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9.4%의 지지율로 당선을 확정지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으로 빚어진 탄핵에 의해 보궐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는 3일 밤 11시, 개표가 시작된 3시간 후부터 유력 당선인으로 예상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일 아침 5시 전국적으로 개표를 모두 마친 가운데 이 후보는 1728만7513표를 얻었다.


김문수 국민의 힘 후보는 1439만 5639표를 획득했다.


두 호보간 득표수 차이는 289만 1874표.


득표율 차이는 8.27%포인트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얻은 표는 291만 7523표로 집계됐다.



지난달 12일부터 시작해 22일간 치열하게 전개된 공식 선거운동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유권자들의 선택을 기다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달 22일 제주 유세에서 통해 내년에는 대통령으로서 4·3기념일에 참석하고 싶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이달 2일 제주를 찾아 제주도가 발전하고 대한민국의 위대한 나라가 되도록 만들겠다고 다짐하기도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도 제주관련 공약을 발표했다.


이번 선거에서 당선된 이재명 후보는 별도의 인수기간 없이 4일 아침부터 공식 대통령직 수행에 나서게 된다.


이날 9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공식회의를 열고 이 후보의 당선을 확정, 당선증을 전달하게 된다.



제주지역 본 투표는 도내 230곳의 투표소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됐다.

 

  

 

제주시 개표소는 한라체육관, 서귀포시 개표소는 공천포전지훈련센터 다목적체육관.

 

도선관위는 도내 230곳의 투표소에 2500여 명의 투표 관리인력을, 개표소에 600여 명의 개표 사무인력을 배치해 공정하고 차질 없는 투·개표를 실시했다.

 

제주지역 선거인수는 총 565255.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에서 35.11%198464명이 투표에 참여, 유권자 세 명 중 한 명은 소중한 주권을 행사했다.

 

한편, 이번 대선에서 제주도민 유권자는 563196, 제주에 주소를 둔 재외선거인은 2059명 등 총 565255명이다.

 

도민 유권자의 연령을 보면 18~1912833(2.3%) 2067814(12%) 3076996(13.6%) 40103657(18.4%) 50119563(21.2%) 6096898(17.3%) 70대 이상 85435(15.1%)으로 집계됐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