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맑음동두천 11.7℃
  • 흐림강릉 14.8℃
  • 구름조금서울 13.8℃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14.7℃
  • 맑음광주 13.9℃
  • 구름조금부산 15.5℃
  • 맑음고창 10.1℃
  • 구름조금제주 17.5℃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5℃
  • 맑음강진군 10.9℃
  • 맑음경주시 8.1℃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주민과 함께 먹거리 나눔 “대천고팡”

20232월부터 첫 시작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천고팡은 서귀포시에서 최초 시행되어 관내 기관, 단체,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후원하는 식료품, 반찬, 공산품 등을 대천고팡 냉장고에 상시 비치하여 위기가구,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등을 대상으로 매월 지원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주민센터 내 비치된 냉장고에 쌀, 라면, 밑반찬 등을 보관해 긴급하게 먹거리 돌봄이 필요한 위기가구 및 복지사각지대 대상자는 월1회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대상자는 두달에 한번 지원을 받고 있다. 가구당 5개 품목을 수령하고 있어 물가 상승으로 어려운 살림에 소중한 버팀목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거동불편 등으로 주민센터에 방문하기 어려운 이웃을 대천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윤용필)에서 직접 가정방문하여 전달함으로써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의 역할 및 고독사 예방을 위한 안부확인 업무에도 알찬 역할을 해내고 있다.

 

지역주민 누구나 실천하는 나눔프로젝트인 대천고팡은 작년 2월에 정기후원단체 등이 모여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협약식과 함께 개소식을 진행하였다.

정기적인 후원을 통한 자원확보를 위해 대천동에서는 지난 23년도에 지역주민 및 자생단체, 기업 등 8개단체와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하여 건강한 먹거리 정기지원을 위한 후원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대천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서는 위원들이 관내 텃밭에 농산물(,열무,풋마늘등)을 재배해 제철반찬을 직접 만들어 식자재를 구매하기 어려운 저소득층 및 복지사각지대 가구에 대천고팡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오고 있다.

 

현재까지 대천고팡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는 5월말 기준 1,800여명을 훌쩍 넘고 있으며, 정기기부 14, 일시적인 기부 157건으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상, 하반기 대천고팡나눔냉장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0점 만점 중 평균 90.7점으로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활발한 운영에 힘입어 지난 418일 대천동에서는 먹거리나눔 1호점대천고팡을 확장 이전하였다.

종전 대천고팡운영은 주민센터 내 엘리베이터 앞 공간을 이용함에 따른 공간협소로 이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대천고팡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동사무소 바로 옆 건물로 확장 이전하여 대상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나눔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새단장도 완료하였다.

 

대천동에서는 대천고팡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활발한 홍보를 통해 유관단체와 주민동참을 유도하는 등 지역의 기부문화 확산에도 계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6.7일부터 21일까지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 중에 있으며 만족도 조사를 통해 도출된 개선방향 및 기타의견을 하반기 사업 운영시 반영하여 대상 가구 특성 및 욕구에 맞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고상희 대천동장대천고팡 장소가 새롭게 단장됨과 동시에 나눔냉장고가 지역내 지속가능한 나눔문화를 전파하고, 대천동에 없어서는 안될 복지사각지대 지원 매개체의 역할을 톡톡히 해낼수 있도록 행정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