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JDC Route330 ICT 입주기업 ㈜드론오렌지 신용보증기금 ‘퍼스트 펭귄’ 선정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사장 문대림, JDC)는 제주혁신성장센터 Route330 ICT 분야 입주기업인 드론오렌지(대표 정념)신용보증기금 투자옵션부 퍼스트펭귄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신용보증기금 퍼스트펭귄은 창업 후 5년 이내의 창조적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유유망 창업기업 중 미래 성장성이 기대되는 핵심 창업기업을 별도로 발굴·선정하여 최대 30억원까지 보증을 지원하고, 각종 우대혜택을 지원하는 제도.


 

드론오렌지는 2015년 설립해 드론 기술과 이를 활용한 첨단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기업으로 드론으로부터 취득한 정밀공간정보를 활용해 위치기반 정밀 증강현실(AR)플랫폼 서비스 사업모델로 2020년에 제주도내 기업 최초로 중소벤처기업부 TIPS 프로그램에도 선정됐다.

 

또한, 드론오렌지는 글로벌 기업 PIX4D*LogisALL(로지스올)** 등과 함께 스마트시티 및 물류와 연계된 디지털트윈 사업과 응용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통해 공동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제주 연동 시내권을 포함 반경 100km에 고정밀 3차원 공간 정보데이터 구축과 제주도 내 항만 물류허브 시설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 구축과 응용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드론오렌지 정념 대표는 신용보증기금 퍼스트펭귄 선정을 통해 지역 스타트업으로서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JDC의 지원과 더불어 제주형 유니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강충효 JDC 산업육성팀장“Route330ICT 액셀러레이팅 첫해 사업에서 신용보증기금 퍼스트펭귄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된 것은 제주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Route330 ICT가 기술과 비전을 갖춘 스타트업 성장의 뿌리(Root) 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Route330ICT 액셀러레이팅은 JDC가 제주혁신성장센터 ICT분야의 우수한 창업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한 지원사업이다. ‘Starter 그룹인큐베이팅 24개 기업과 ‘Challenger 그룹액셀러레이팅 6개 기업, 30개의 제주형 예비 유니콘을 선발해 독립 사무실을 제공하고, 엠와이소셜컴퍼니에서 입주 기간 동안 맞춤형 집중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도, 8월 한 달 우도 교통안전 특별 지도·단속
제주특별자치도는 우도면 차량 운행제한 일부 완화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1일부터 한 달 간 교통안전협의체(거버넌스) 중심의 특별 지도·단속에 나선다. 이번 합동 지도·단속은 우도 내 차량 운행제한 일부 완화에 따른 교통량 증가와 혼란을 차단하기 위해 도와 행정시, 유관기관, 우도면 자생단체가 함께 교통안전과 관광질서 전반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교통정책과, 자치경찰단, 제주시(교통행정과, 해양수산과), 동부경찰서(교통과, 우도파출소), 한국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우도면 이장협의회 등 주요 점검사항은 △차량 운행제한 이행 여부 △도로 및 공유수면 무단점용 △자가용 등 불법 유상운송, 무등록 여행업 △렌터카, 이륜차 등 교통법규 위반 △전기 3륜차 안전수칙 준수 등이다. 우도면 해안도로 등 교통사고 취약지점 점검과 유해요소 파악, 교통안전 의식 개선을 위한 홍보 활동도 함께 진행된다. 1일 첫 합동점검 이후에도 제주도(교통정책과, 자치경찰단), 동부경찰서 등을 중심으로 8월 한 달 동안 지속적인 현장 지도·단속이 이뤄진다. 우도면 교통상황 등 활동사항을 수시로 공유해 현장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하는 등 실효성 있는 지도·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