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12.5℃
  • 구름많음서울 9.8℃
  • 맑음대전 11.9℃
  • 맑음대구 12.6℃
  • 맑음울산 14.8℃
  • 맑음광주 12.9℃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1.9℃
  • 구름조금제주 13.6℃
  • 구름조금강화 9.0℃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11.7℃
  • 맑음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3.6℃
  • 맑음거제 12.2℃
기상청 제공

25일 2031명 진단검사, 확진자 없어

해장국집 방문자, 교도소직원, 기숙사 입소자 등

제주도내에서 25일 하루 동안 제주에서 총 2031명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았으며, 추가 확진자는 없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진단검사 물량은 평소 8~900건 수준이나 25일에는 김영미재첩해장국 방문자에 대한 검사와 교도소 직원, 고등학교 기숙사 입소 대상자의 전수검사 등이 이뤄지면서 검사 물량이 2배 이상 대폭 증가했다.

 

제주시 이도2동에 위치한 김영미재첩해장국 식당과 관련해서는 24일과 25일 이틀 동안 총 1010명이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했다.

 

제주도는 역학조사 과정에서 김영미재첩해장국 식당 근무자가 코로나19에 확진된 것을 확인한 후 동선을 공개하고 10일부터 23일까지 방문자에 대한 진단검사를 당부한 바 있다.

 

동선 공개 후 25일까지 방문자로 확인된 1010명의 진단검사가 이뤄졌으며, 이중 785명은 음성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225명에 대한 검사결과는 26일 오후 2시 이후부터 순차 통보될 예정이다.

 

해당 음식점에 대한 방역소독 조치는 모두 완료됐다.

 

제주교도소 직원 등 295명에 대한 선제 검사도 진행됐다.

 

25일 제주교도소 제소자 등 295명에 대한 코로나19 진단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제주교도소에 대한 선제 검사는 올해 17일부터 시작해 매주 목요일마다 총 8회에 걸쳐 진행됐으며, 현재까지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제주지역 고등학교 기숙사 입소 대상자들의 전수검사도 병행되고 있다.

 

제주도는 신학기 정상적인 학사운영과 학교 내 집단 감염 방지를 위해 지난 22일부터 기숙사 입소 예정자에 대한 코로나19 선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 간 총 1217명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았다.

 

이들은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26일 오전 11시 현재 제주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총 568명이다.

 

이달 제주에서는 46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으며, 올해 들어 총 147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71(2.19~25, 12명 확진)이다.

 

제주지역 격리 중 확진자는 29(용산구확진자 1명 포함), 대구 이관 1, 격리 해제자는 538(사망1, 이관 1명 포함)으로 집계됐다.

 

도내 가용병상은 총 509개이며, 자가격리자 수는 총 424(확진자 접촉자 141, 해외입국자 283)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소방, 선박화재 대응 유관기관 합동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가 선박화재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민·관·군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최근 5년간 도내 항·포구에서 선박화재가 잇따르면서 실전형 훈련의 필요성이 커진 데 따른 조치다. 소방안전본부는 25일 오전 10시 서귀포항 제3부두 일대에서 선박화재 대응 유관기관 합동 소방훈련을 실시했다. 최근 5년간 도내 항·포구에서 총 31건의 선박화재가 발생해 37척의 선박이 소실됐다. 재산 피해는 약 45억 원에 달한다. 이번 훈련은 선박화재가 복합재난이라는 특성을 반영해 설계됐다. 제주소방본부를 비롯해 서귀포해양경찰서,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어선주협회, 수협 등이 참여했다. 민·관·군 인원 76명과 장비 17대가 동원됐다. 훈련 시나리오는 실제 상황을 가정했다. 어선에서 발생한 화재가 선박 간 과밀·근접 정박 문제로 인해 인근 선박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다. 훈련은 실전 대응 절차 숙달에 중점을 뒀다. 선박 간 연소 확산 대응, 기관 간 실시간 교신 훈련(PS-LTE 활용), 겹접안 상태의 화재 선박 분리 조치 등을 실제 상황처럼 진행해 민·관·군 합동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했다. 박진수 소방안전본부장은 "항구 내 선박 밀집도나 강한 바람 등 환경 요인으로 선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