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9.5℃
  • 흐림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12.8℃
  • 흐림대전 12.7℃
  • 대구 12.9℃
  • 울산 12.2℃
  • 광주 12.9℃
  • 부산 13.2℃
  • 구름많음고창 13.0℃
  • 제주 16.7℃
  • 구름많음강화 8.8℃
  • 흐림보은 11.2℃
  • 흐림금산 12.2℃
  • 맑음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4℃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국제학교에 확진자, 대정읍 '화들짝'

재학생 확진 받아...집단발생 차단 나서

제주국제학교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 비상이 걸렸다.

 

제주도교육청도 20일부터 대정읍 관내 학교의 등교를 막아 비대면 수업에 돌입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서귀포시 대정읍 소재 국제학교 재학생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음에 따라, 학교 내 집단 감염 발생을 조기에 차단하고 도민 불안감을 완화하기 위해 해당 학교 운동장에 워크스루 선별진료소를 설치하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워크스루 선별진료소

 

지난 19일 오후 822분경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제주 65번째 확진자 A씨는 국제학교 재학생으로 파악됐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 19일 오후 10시 감염병관리팀, 감염병관리지원단, 영어교육도시팀, 도 교육청 등 관계기관 및 관련부서와 긴급회의를 개최해 방역조치에 대한 사항을 논의했다.

 

긴급회의를 통해 대정읍 관내 12개교(유치원 4, 초등학교 4, 중학교 2, 고등학교 2개교)20()23() 원격 수업으로 전환하고 국제학교내 워크스루 선별진료소를 설치해 재학생과 교직원 등에 대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대상은 대정초병설, 대정서초병설, 무릉초병설, 보성초병설, 대정초, 대정서초, 보성초, 무릉초·, 대정중, 대정고, 대정여고 등.


특히 1차 역학조사를 통해 A씨가 기숙사생으로 확인됨에 따라 확진자와 동일한 기숙사를 사용한 학생 20명과 접촉이 이뤄진 교사 3명에 대해서는 20일 오전 140분경까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시행했다.

 

검사 결과 23명은 20일 오전 440분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다.

 

또한 20일 오전 9시경부터는 국제학교내 워크스루 선별진료소가 설치돼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사 대상은 학생과 교사 176, 급식소 배식·청소인력, 기타 유증상자 등으로 약 220명에 대한 검체 채취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검사는 금일 중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일 오전 10시 기준 100명의 검사가 진행됐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해당 학교 내 세부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A씨의 진술을 토대로 현장 CCTV 확인을 통해 접촉자 조사와 분류가 진행되고 있으며, 역학적 연관성 등을 조사하고 있다.

 

한편 65번째 확진자 A씨는 지난 5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지역을 방문한 이력이 있으며 지난 19일부터는 발열(38.2), 오한, 인후통 등 코로나19 증상을 보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A씨는 지난 19일 오후 130분경 서귀포시 서부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검체 채취를 진행해 오후 822분경 확진판정을 받았으며, 오후 1125분경 제주대학교병원 음압병상으로 이송돼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